통일 되면 집 몇 채 지어야 할까?
건산연, 北 신규주택 154만가구 필요 예측
2014-04-03 16:55:05 2014-04-03 16:59:13
[뉴스토마토 원나래기자] 최근 박근혜 대통령이 독일 드레스덴에서 밝힌 대북제안으로 '통일 후 북한 재건사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통일을 전제로 대북 인프라 건설사업을 예측하고 검토하는 작업이 시급하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특히 북한 전 지역이 도로, 철도 등 교통시설과 발전·송전시설 등의 사회기반시설(SOC)도 시급하지만 주택 공급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3일 건설산업연구원의 '북한 주택시장의 특성과 수요 예측'에 따르면 북한의 주택보급률 100%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119만가구에서 154만가구의 신규 주택이 더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후 주택과 주택 성능 개선을 위한 주택 리모델링도 시급한 실정이다.
 
국토연구원은 지난 2008년 북한의 주택보급률이 2006년 77~83% 수준이라고 밝혔다. 이는 2006년 북한의 가구당 가구원 수를 4.3명, 가구 수를 약 537만가구로 추정한 예측 치다.
 
이어 2007년부터 2013년간 매년 5만가구가 공급되고 멸실이 없다는 가정 하에 2013년까지는 35만가구의 주택이 증가했다. 2013년 북한의 주택 수는 447만~482만가구라는 분석이다. 통계청의 북한 인구 추계에 따라 2013년 북한 인구가 2454만5342명인 것을 감안하면 지난해 주택보급률은 74~80%로 2006년보다 3%가량 하락했다.
 
주택 공급 부족도 문제지만 시설 수준도 열악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엔인구기금(UNFPA,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의 재정 지원으로 북한의 인구센서스를 조사한 결과, 북한 세대의 2/3는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북한 전체 세대의 90.5%는 75㎡ 이하 규모의 주택에서 거주하고 있으며, 주택 공급이 부족해 한 주택에 2가구 동거가 많았다. 76㎡ 이상 중대형 주택의 경우에는 전국 평균이 9.5%인 데 반해 평양이 18.2%를 점유했다.
 
수세식 화장실의 보급률도 전국 평균이 59.4%지만 농촌은 46.2% 수준에 불과했다. 난방의 경우 석탄(47.1%)과 나무(45.1%)의 비율이 가장 높으며 중앙·지역난방과 전기 난방은 5.2% 수준이다.
 
북한의 주택은 조립식 공법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주로 농한기에 주택 건설을 추진하는 데다 기후 상 동절기가 긴 관계로 건설공사 기간이 짧기 때문에 인력 문제와 기후 조건을 감안해 콘크리트의 양생 기간을 단축시키는 공법이 보편화된 것으로 풀이된다.
 
건산연은 남북통일 또는 북한의 개방화를 전제로 주택 수요를 예측하고 정부와 업계가 이에 대해 대비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박용석 연구위원은 "화장실과 난방 설비 등의 개선, 주택 확장 등 성능이 저하돼 있는 북한 주택 환경 개선을 위해 리모델링에 대한 수요가 대량으로 발생할 것"이라며 "신규 주택 수요가 라선과 개성, 신의주 등 경제특구에서 우선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다.
 
그는 "북한이 완전 개방돼 거주 이전이 용이해 질 경우 북한의 경제특구와 평양 등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신규 주택 수요가 발생할 수 있다"며 "북한 지역에서 남한 지역으로 이주하는 인구도 발생할 것으로 보여 남한의 대도시를 중심으로 신규 주택의 수요 발생도 배제할 수 없다"고 내다봤다.
 
◇박근혜 대통령.(사진=뉴스토마토)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