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곽보연기자] 제4이동통신 후보자인 한국모바일인터넷(KMI)이 다섯번째 도전장을 내밀었다.
KMI 컨소시엄은 14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날 오전 미래창조과학부 기간통신사업과에 허가 신청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번에는 기술방식을 기존 와이브로 방식에서 시분할 LTE(LTE-TDD) 방식으로 바꿨고, 그간 문제가 됐던 재무건전성도 보완했다.
아울러 가계 통신비 부담을 덜기 위해 일체의 가입비를 폐지하는 등 파격적인 요금제를 제시했다.
공종렬 KMI 대표이사는 "일반 사용자들이 얼마나 편하게, 얼마나 저렴하게 모바일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가에 초점을 맞춰 가입비를 폐지하는 것으로 결정했다"면서 "가입하는데 따르는 비용부담은 일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KMI "가계통신비 부담 완화부터 일자리 창출효과까지"
제4이통이 출범하게 될 경우 소비자들이 직접적으로 겪게 되는 수혜는 어떤 것이 있을까. KMI는 '파격적인 가계통신비 절감 효과'라고 주장한다.
요금제의 경우 음성통화는 현행 평균요금인 1만2000원 대비 4000원 저렴한 월 기본료 8000원(초당 통화료 1.4원)을 제시했다. 또 모바일 데이터는 월 기본료 3만원에 무제한 이용이 가능하다.
여기에 음성통화과 데이터를 결합해 이용하는 고객에게는 3만6000원에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방침이다.
공 대표는 "밖에서는 이동전화와 스마트폰 데이터로 사용하다가 집에서는 테더링을 걸어 데스크탑이나 노트북PC로도 사용할 수 있다"면서 "굳이 유선인터넷을 가입할 필요가 없어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KMI는 1인가구가 이 서비스를 이용한다면 가계 통신비를 연간 58~59%까지 절감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KMI가 자신있게 내세운 것은 '일자리 창출효과'다. KMI는 제4이통 투자로 2만3638개의 일자리가 창출되고, 통신비 절감에 따라 가계 가처분소득이 증가하면서 1만3770명의 취업유발이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공종렬 한국모바일인터넷(KMI) 컨소시엄 대표이사가 14일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KMI의 정책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사진=곽보연기자)
◇재정건전성, 어떻게 보완했나
지금까지 가장 큰 장애로 지적됐던 재정건전성에 대해서도 KMI는 준비를 마쳤다는 입장이다. KMI는 정부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설립자본금 규모를 8500억원대로 늘렸다고 밝혔다.
현재 마련된 자본금은 8530억원으로, 사업권을 취득하게 될 경우 현물출자 470억원을 납입받아 9000억원으로 증자할 방침이다. 또 국민정서와 정부의 우려를 반영해 2014년도까지 자기자본금을 2조1000억원까지 증자할 계획이다.
주주구성은 법인 및 개인사업자 234곳과 개인 380명 등 총 614인으로 이뤄진다. 개인이 많아지게 된 것과 관련해 공 대표이사는 "제4이통 사업자로 허가가 나서 출범하게 될 경우 지역별로 영업망 확충이 필요하다"면서 "허가 이후 갖추게 될 대리점 숫자"라고 별도 설명했다.
전략적 제휴 업체도 구성했다.
공 대표는 "LTE-TDD에 관심이 많은 삼성전자와 에릭슨엘지, 노키아지멘스네트웍스, 화웨이, 알카텔루슨트와 전략적 제휴협약을 체결한 상태"라며 "투자자본 유치에 대해서도 NH농협투자증권, KTB투자증권 등과 전략적 제휴를 체결했다"고 말했다.
가입자 유치에도 자신있는 모습이다. KMI는 서비스 개시 5년차를 기준으로 860만명의 가입자를 목표로 세웠다고 밝혔다. 올 상반기 기준 LTE 가입자는 2400만명 규모다.
정보통신부 차관을 지낸 박성득 KMI 이사회 의장은 "국내 이동통신 시장은 현재 정점에서 정체된 상황이다.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문제들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면서 "왜곡되가고 있는 국내 이통시장에 새로운 바람을 넣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재무적 능력에 대한 의구심 여전
이날 KMI는 지난 9개월동안 문제로 지적돼 온 것들을 모두 보완했다고 자신했다.
하지만 KMI의 재무적 능력과 관련해서는 여전히 우려가 남아있다. 통신사업은 공공재 특성을 띄고 있는 만큼 문제가 발생했을 때 해결능력이 있어야 하는데 KMI 컨소시엄의 경우 안정적인 주주가 없다는 것이 대표적인 이유다.
공 대표는 이에 대해 "전통적인 경제학 관점에서는 대규모 설비투자가 들어갈 때 대규모 자본이 필요하고, 때문에 재무가 중요하다고 생각해온 것"이라면서 "인터넷을 통한 엔젤투자등 자본 동원은 충분히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우리나라 통신 사업은 과점적 대주주 때문에 이윤극대화로 흘러갔다"면서 "통신은 민간영역에 있으면서도 공공재 영역에 속하는 것이므로 이윤극대화를 추구하는 과점적 대주주들이 참가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