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송종호기자] '삼수' 끝에 2018년 동계올림픽이 평창으로 정해지자 전국이 환호하며 성공적인 대회를 기대하고 있다.
올림픽이 가져다 줄 유·무형의 다양한 파급 효과 가운데서도 경제적 손익을 계산하며 국익에 도움이 될 '경제 올림픽'을 개최해야 한다는 목소리다.
평창 동계올림픽은 건설·관광·서비스업 등에서 수십조원의 부가가치를 창출해 지역경기에 도움을 줄 것이란 예상이지만, 과도한 재정 투입과 무계획적인 투자 및 건설경기 확장 등은 오히려 사후에 지역과 국가 경제에 엄청난 부담으로 돌아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 “반짝” 효과 줄이고, 토건세력 배만 불려서는 안돼
국내외 경제연구소는 경기장 건설 투자와 관광객 소비로 총생산액 유발 효과는 20조원을 넘고 부가가치 유발액도 8조원을 넘을 것으로 전망한다. 고용창출효과만도 23만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강원도 내 총생산 유발 효과만도 11조6000억원, 부가가치 유발액 5조3000억원, 고용창출 효과도 14만명에 이르는 등 긍정적인 효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우리가 개최한 국제적인 행사인 86서울아시아게임과 88서울올림픽, 2002년 한·일 월드컵과 부산아시아게임 당시의 경제성장률을 보면 경제적 효과는 상당하다.
88년 한해 동안 우리 경제성장률은 11.7%를 보인다. 2002년에는 7.2%다. 2001년 4.0% 성장률과 비교하면 월드컵과 아시아게임 덕을 봤다고 할 수 있다.
문제는 다음해다. 89년 경제성장률은 6.8%로 곤두박질친다. 2003년에는 2.8%성장률을 보인다. 경제적 효과가 1년을 넘기지 못했다는 것이다.
더구나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 타당성 조사보고서'에 의하면 20조원의 생산유발 효과중 건설 분야가 7조8839억원을 차지한다.
이자희 녹색연합 간사는 "건설투자가 집중되는 상황에서 토건세력이 이익을 챙기고 나면 강원도에는 경기장의 텅 빈 시설물과 분양되지 않을 건물만 남게 된다"며 "더구나 경기장과 도로건설로 파괴되는 환경은 경제적 가치로 가름할수도 없다"고 지적했다.
◇ “국가브랜드” 제고VS “적자”면치 못하는 국제경기
대부분의 전문가는 국제경기 유치의 진정한 효과는 국가브랜드 제고로 인한 중장기적 성과라고 의견을 같이한다.
박태일 현대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의 경제적 효과' 보고서에서 평창 동계올림픽은 직·간접적으로 64조9000억원의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추산했다.
올림픽 개최 후 10년 동안의 경제적 효과인 간접적 효과는 43조8000억원으로 직접적 효과의 2배가 넘을 것으로 내다봤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올림픽 이후 추가 관광효과를 약 32조원으로 추산했으며, 국가이미지 제고에 따라 100대 기업의 인지도가 1%포인트씩 상승해 11조6000억원의 효과가 달생할 것으로 예상했다.
장기적으로 국가이미지 제고와 지역경제의 긍정적인 영향 그밖에 기업이미지 개선 효과가 40조원에 이른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올림픽을 개최한 국가의 사정이 밝지만은 않다.
2004년 올림픽을 유치하는 과정에서 그리스는 정부 지출을 16억달러으로 예상했지만, 실제 지출액은 160억달러로 10배가 뛰었다. 중국도 2008년 올림픽 유치 비용을 16억달러로 잡았지만, 결국 지출은 400억달러를 넘어섰다.
98년 일본 나가노 동계올림픽은 10여년이 지난 현재도 재정난에 허덕여 적자 올림픽으로 기록되고 있고, 지난해 열린 밴쿠버 올림픽은 최고 100억달러 적자를 낸 것으로 알려졌다.
전용배 동명대 교수는 "올림픽 개최 이후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형편"이라며 "과거 실패사례를 살펴보고 2018년 동계올림픽의 경제적 효과를 일회성으로 끝내지 않고 최대화하는 데 주력해야한다"고 조언했다.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