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안정훈 기자] 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회(준감위) 위원장은 25일 최근 불거진 삼성바이오로직스 내부망 유출 사안에 대해 “위원회에서 차기 안건으로 이 문제를 다뤄볼 수 있을지 논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논란이 삼성 전체의 인사관리 체계와 노조 운영 방향과 맞물린 문제인 만큼, 파장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찬희 삼성준법감시위원회 위원장이 25일 서울 서초구 삼성생명 서초사옥에서 열리는 준감위 정례회의 참석 전 기자들과 만나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 위원장은 이날 서울 서초구 삼성생명 서초사옥에서 열린 준감위 정례회의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준법감시위원회는 7개 관계사와 협약을 맺어 불법 감시 업무를 위탁받았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저희 관계사인 삼성물산이 최대주주이긴 하지만, 자회사는 아니다”면서도 “삼성물산이 저희 관계사인 만큼 혹시라도 그것이 어떤 문제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저희(준감위)도 주의 깊게 볼 생각”이라며 논의 가능성을 열어뒀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인사팀 공용 폴더가 내부망 전체에 노출된 사실이 알려지며 논란이 확산된 가운데, 준감위가 신중한 스탠스를 유지하면서 여파는 한동안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앞서 삼성그룹 노동조합연대는 삼성전자 사업지원실 소속 박학규 사장과 이 위원장에게 공식 면담을 요청하기도 했지만, 이에 대한 답은 나오지 않았습니다.
이에 따라 해당 사안이 준감위의 공식 의제로 오를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이고 있습니다. 준감위의 감시를 받는 계열사는 삼성전자와 삼성물산, 삼성SDI 등 7곳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포함돼 있지 않습니다. 다만 삼성물산이 삼성바이오로직스 최대주주로 있는 데다, 삼성전자 사업지원실 관여 의혹까지 엮이면서 준감위 역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에서도 개인정보와 고과평가 등이 유출됐다는 의혹에도 이 위원장은 말을 아꼈습니다. 그는 “정보 유출이 시스템의 문제인지, 과실인지 정확히 나오지 않았다. 유형이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말씀드릴 순 없다”며 “다만 정보 보호는 상당히 중요한 영역이니 혹시 위법한 영역에서 이뤄지는 건 아닌지 살펴볼 계획”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 위원장은 최근 삼성전자가 노태문 디바이스경험(DX)부문장이 대표이사를 겸하면서, 전영현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장과 투톱 체제를 구성한 것에 테크 기업이 전문가를 중시하는 건 당연하다고 평했습니다. 그는 “지금까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사법리스크 때문에 삼성이 기술 추구라는 부분에서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했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제3자 입장에서 갖고 있다”며 “삼성전자는 기술 회사이니 기술 인재를 중요시하는 게 당연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정현호 삼성전자 부회장의 용퇴를 계기로 그룹 사업지원 테스크포스(TF)가 사업지원실로 격상된 데 대해서는 “제도는 이름보다 운용이 중요하다는 생각”이라고 답했습니다. 다만 사업지원실의 계열사 인사 개입 의혹에 대해서는 “준법 영역에서 문제가 되는 부분이 있는지 주의 깊게 지켜보겠다”고 답했습니다.
이 위원장은 이재용 회장의 등기이사 복귀에 “신념에 변화가 있을 만한 특별한 일은 아직 없다”고 했습니다. 이 위원장은 이전부터 수차례 이 회장의 등기이사 복귀가 필요하다고 주장한 바 있습니다.
안정훈 기자 ajh76063111@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오승훈 산업1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