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지은 기자] 김영섭 KT 대표가 2025년 국정감사에서 증인으로 세 번째 출석했습니다. 김 대표를 향해 이번에도 무단 소액결제 사태와 개인정보 유출 관련 보상안에 대한 질의가 쏟아졌습니다. KT가 피해 고객에 대한 보상을 늘려가고 있지만, 국회는 안전한 통신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했다는 귀책 사유에 따라 전 고객에 대해 배상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는데요. 김영섭 대표는 전체 고객에 대한 배상은 추후 결정 사항이라는 입장을 고수하면서 유심 교체는 이사회 의결 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29일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 김영섭 대표가 증인으로 출석했습니다. 지난 14일 정무위원회, 21일 과방위 국감에 증인으로 출석한 이후 세 번째입니다. 이날은 통신3사 최고경영자(CEO) 중에서뿐만 아니라 기업인 가운데서도 유일하게 증인으로 출석했습니다.
SK텔레콤(017670)과
LG유플러스(032640) CEO는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가 열리는 경주를 방문 중인 것과 대비됩니다.
김 대표가 또 다시 국감 증인으로 불려온 이유로는 무단 소액결제 사태로 불거진 고객 정보 유출이 지목됐습니다. 지금까지 불법 소액결제 피해 고객은 368명으로 확인됐고, 피해액은 2억4000만원입니다. 불법 초소형기지국(펨토셀)에 접속돼 가입자식별정보(IMSI), 단말기식별번호(IMEI), 전화번호 등이 유출된 이용자는 2만2000여명으로 집계됐습니다.
김영섭 KT 대표가 29일 국회 과방위 국감 증인으로 출석했다. (사진=뉴스토마토)
앞서 KT는 소액결제 피해에 대해 100% 배상을 약속하면서 지난 21일부터는 피해 고객에 한해 위약금을 면제하기로 했습니다. KT는 이날 오후 김영섭 대표의 국감 증인 출석 시점에 맞춰 피해 고객 보상 계획도 발표했습니다. 소액결제와 정보 유출 피해 고객에게 5개월간 데이터 100GB를 제공하고, 15만원 상당의 통신요금 할인 또는 단말 교체 비용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KT가 피해 고객에 대한 보상안을 구체화하고 있지만, 이날도 질책은 이어졌는데요. 이훈기 민주당 의원은 KT 전 고객에 대해 배상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의원은 "SK텔레콤은 안전한 통신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했다는 귀책 사유를 인정해 모든 고객에 대해 (위약금을) 면제해 줬다"며 "2만2000여명 피해가 확인됐고, 다른 가입자들은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대해 김 대표는 "경찰과 민관합동조사단의 조사 결과, 고객들의 피해 내용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결정하겠다"며 기존 입장을 고수했습니다. 다만 전 고객에 대해 위약금을 면제해야 한다는 결정이 나온다면 소급 적용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대신 KT는 앞서 전 고객 대상 유심 교체를 진행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는데요. 이와 관련해 황정아 민주당 의원은 "전 고객 대상 유심 교체를 하겠다고 했는데 깜깜무소식이다"고 지적했습니다.
김영섭 대표는 "전 고객이 유심 교체를 할 수 있도록 준비 중이고, 마무리 단계에 있다"며 "지난번처럼 줄을 서는 불편을 초래하면 안되기에 재고 확보 등을 준비했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시점은 다음 달을 넘어설 전망입니다. 김 대표는 "이사회 논의가 필요하다"며 "11월4일 이사회에서 의결되면 시행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지은 기자 jieunee@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나볏 테크지식산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