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존 위기 'K-제조업'…살길은 'AX'
기업 성장성·수익성 '동반 하락'
K-제조업, 성장 전략 한계·경쟁력 약화
제조 AX 얼라이언스, 속도·규모·실증 관건
2025-09-10 16:46:11 2025-09-10 17:08:09
[뉴스토마토 이규하 기자] 우리나라 기업 매출 증가율이 2년여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섰습니다. K-제조업들이 '성장성 악화', '수익성 둔화'를 겪고 있는 겁니다. 제조업 일자리 지표도 좀처럼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단순 사이클이 아닌 업종별 구조적 취약성에 대한 시그널이 짙어지고 있다는 방증으로 읽힙니다. 정부도 K-제조업의 구조적 위기를 정면 돌파하기 위해 '제조 인공지능 전환(AX) 얼라이언스(M.AX)'를 출범했지만 '속도·규모·실증'이 최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10일 한국은행의 '2025년 2분기 기업경영분석 결과'를 보면, 올해 2분기 국내 외부감사대상 법인 기업의 성장성을 나타내는 매출액 증가율이 -0.7%로 집계됐다. (사진=뉴시스)
 
10일 한국은행의 '2025년 2분기 기업경영분석 결과'를 보면, 올해 2분기 국내 외부감사대상 법인 기업의 성장성을 나타내는 매출액 증가율이 -0.7%로 집계됐습니다. 매출액 증가율 마이너스는 2023년 4분기(–1.3%) 이후 첫 역성장으로, 전 분기 2.4%를 기록한 바 있습니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각각 -0.6%, -1.3% 하락했습니다. 총 자산 증가율을 보면 대기업은 0.9%에서 -0.5%로 떨어졌습니다. 중소기업의 경우는 3.5%에서 3.1%로 하향 곡선을 그렸습니다. 부채비율에서 대기업(86.0%→84.9%)은 하락했으나 중소기업(111.3%→112.4%)의 상승이 뚜렷했습니다. 
 
특히 산업별 매출액은 제조업(2.8%→-1.7%)과 비제조업(1.9%→0.3%) 모두 하락했습니다. 3·4분기 전망도 밝지 않습니다. 석유화학 부진은 단기간 해소되기 어렵고 호조세를 보이는 반도체의 경우 관세 부과 가능성이 남아 있습니다. 수출 다변화가 절실한 자동차 산업의 앞날도 녹록지 않은 상황입니다. 
 
일자리 사정도 나아지지 않고 있습니다. 8월 고용동향을 보면 제조업 취업자는 6만1000명이 감소하는 등 14개월째 뒷걸음질 치고 있습니다. 전체 실업률은 전년 동월보다 0.1%포인트 상승한 2.0%로 집계됐습니다. 
 
대외 여건 악화에 직면한 K-제조업은 수출 중심의 성장 전략 한계와 경쟁력 약화가 꼽히고 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대한상공회의소가 이날 제조 AX 얼라이언스인 'M.AX' 공식 출범을 선언한 것도 이런 맥락입니다. 해당 얼라이언스에는 삼성, LG, 현대차, SK 등 국내 대표 기업들과 기관, 대학 등 1000개 이상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공동위원장)이 10일 서울 중구 웨스턴조선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제조 AX 얼라이언스 출범식에 참석, 10개 분과별 얼라이언스 운영 계획을 밝히고 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얼라이언스는 인공지능(AI) 팩토리, AI 제조서비스, AI 유통·물류, 자율주행차, 휴머노이드, 자율운항선박, AI 가전, AI 방산, AI 바이오, AI 반도체 등 10개 분과로 2030년 100조원 이상의 부가가치 창출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내년 AI 예산도 올해보다 두 배인 1조1347억원으로 확대합니다. 산업부 AI 관련 예산부터 얼라이언스 내 주요 프로젝트에 최대한 배정하되, 2027년 예산(안) 편성부터는 M.AX 얼라이언스 제안 과제에 최우선 반영할 계획입니다. 
 
민간 기업 한 연구원은 "정리하면 외부 수요 충격과 기저 효과, 상품구조·기술전환 지연이 복합적인 것으로 현 지표들은 단순 사이클로 보기보단 업종별 구조적 취약성이 신호로 읽어야 한다"며 "제조 AX를 구호에서 실행으로 전환하는 거버넌스, 자금, 실증, 인력 등의 병렬적 집행이 없으면 성과는 제한적"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역대 정권 때마다 정부가 '혁신'을 꺼내들었지만 '전략 과시'에 그치고 생태계를 만들어낼 수 있는 우리만의 것을 찾지 못했다"며 "구호가 아닌 성과 연결은 PMO(프로젝트 관리 조직) 중심화의 속도전과 현장 바우처·데이터 인프라, 생산성·매출 회복·일자리 전환 등 실증 파일럿이 가시화돼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습니다. 
 
세종=이규하 기자 judi@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