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5000 시대? 코스닥도 3000 가야"
벤처기업협·VC협회·코스닥협회 등 3개 단체 공동정책 제안
"시장 중심 구조 개선·기관투자자 유입·장기 목표 설정 필요"
"한국경제 혁신 성장 위해 코스닥 시장 활성화가 선결과제"
2025-07-30 15:28:17 2025-07-30 15:43:08
[뉴스토마토 이보라 기자] 코스피 5000 달성을 공약으로 내세운 이재명정부가 들어선 뒤 코스피가 연일 상승세를 시현하는 가운데 창업 생태계 시장에서 회수 시장을 담당하고 있는 코스닥을 되살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상장 준비기업(벤처기업협회)과 상장기업(코스닥협회), 그리고 투자자(벤처캐피탈)를 대표하는 3개 단체는 현재 상장 시장 구조를 개선하고, 국민연금 같은 기관투자자를 코스닥으로 유인해, 코스닥 3000 시대를 열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벤처기업의 등용문이자 모험자본의 공급처인 코스닥 시장 재건을 통해 한국경제 신성장동력을 회복할 수 있다는 주장입니다. 
 
송병준 벤처기업협회장은 30일 여의도에서 열린 '코스닥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안 기자간담회'에서 "코스닥 3000 시대를 열기 위해 코스닥 시장의 새로운 역할 정립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회수시장의 정체되며 창업과 투자의 선순환을 막고 있어 이를 바로잡기 위한 시장중심의 코스닥 구조 개선이 절실하다"고 호소했습니다. 이날 행사는 코스닥협회와 벤처기업협회, 한국벤처캐피탈협회 등 3개 단체가 코스닥시장 활성화를 위한 공동정책제안을 위해 개최됐습니다. 
 
1996년 출범한 코스닥 시장은 미국 나스닥에 이어 세계 두 번째로 설립된 성장주 중심의 시장입니다. 설립 4년 만에 거래금액이 코스피를 추월할 만큼 주목받았습니다. 코스닥 지수는 출범 당시보다 20% 낮은 약 800포인트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활성화되지 못한 회수시장과 함께 장기 침체 국면에 진입한 것으로 진단되고 있습니다. 특히 이재명정부 들어 코리아디스카운트 해소와 자본시장 신뢰 회복을 정책 과제로 내세우며 코스피 5000 달성을 정책목표로 설정한 가운데, 코스닥에도 정부 차원의 중장기 전략이나 방향이 필요하다고 세 단체는 주장했습니다.
 
이들은 △코스닥 운영 원칙 확립 △유동성 공급 강화 △정부의 정책 비전 제시 등을 통해 코스닥시장의 활력 회복이 필요하다고 제안했습니다. 현재의 코스닥 시장은 '진입장벽과 퇴출 회피'하는 구조로 성장기업의 진입이 제한되고 비효율 기업의 퇴출은 지연되는 등 전방위적 위축된 상태라고 이들은 진단했습니다. 송 회장은 "주관사가 IPO에 책임을 지게 해, 진입 문턱은 낮추고, 상장 이후 기준은 엄정히 적용하는 '다산다사' 구조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67개 법정기금의 운용자산 일정 규모 이상을 각 기금 목적과 용도에 맞게 벤처 스타트업 투자를 의무화하는 방법도 제안했습니다.
 
한국벤처캐피탈협회는 코스닥 활성화 펀드 도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정부·정책금융기관 출자를 통해 민간 투자의 마중물 역할을 수행하는 모(母) 펀드를 조성하고, 일반 국민을 포함한 민간 자금을 매칭하는 자(子) 펀드를 결성해, 유동성을 공급하자는 이야기입니다. 김학균 한국벤처캐피탈협회장은 "연간 10조원씩 3년간 총 30조원 규모의 코스닥 활성화 펀드 조성을 통해 코스닥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기관투자자 중심으로 체질을 개선해 코스닥 3000 시대를 열자"고 말했습니다.
 
코스닥협회는 기관투자자가 코스닥 투자에 상대적으로 소극적인 관계로 코스닥 시장의 변동성을 키우고 중장기적인 자금 유입을 저해하고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이동훈 코스닥협회장은 "한국경제의 혁신 성장을 위해서는 코스닥 기업의 성장과 코스닥시장 활성화가 선결과제"라며 "국민연금 등 기관투자자의 코스닥시장 투자 확대와 개인투자자의 장기투자를 유도할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국민연금이 코스닥시장이 차지하는 시가총액 비중만큼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는 겁니다. 또한 장기 투자 시 배당소득 세율을 추가 인하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30일 중소기업중앙회 상생룸에서 코스닥시장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안 기자간담회가 진행되고 있다. (사진=벤처기업협회)
 
이보라 기자 bora11@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고재인 자본시장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