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70, 사상 첫 2030 추월…총선판 '변수'
60대 이상 유권자 31.43%…2030 28.78%
민주화 겪은 '60대' 숨은 캐스팅보트 부상
2024-01-12 17:07:47 2024-01-12 18:01:41
[뉴스토마토 박진아 기자] 오는 4월10일 치러질 제22대 국회의원 총선거(총선)는 60대 이상 유권자가 2030 청년세대를 앞지르는 최초의 선거가 될 전망입니다. 대한민국이 초고령 사회로 진입한 결과인데요. 60대 이상 유권자가 2030 세대를 앞선 것은 처음입니다. 통상적으로 고령층 투표율이 젊은층을 웃돈다는 점을 감안하면, 60대 이상 표심의 영향력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눈여겨봐야 할 점은 1980년대 민주화 운동에 참여한 '86(80년대 학번·60년대 생)세대'가 60대에 진입하기 시작했다는 점입니다. 그간 보수 색채가 짙었던 전통적 고령층이 아닌 진보 성향의 유권자가 60대에 편입했다는 뜻입니다. 정치권에서도 세대 이동 변화를 주목하고 있는데요. 22대 총선의 캐스팅보트로 떠오른 '6070' 표심을 잡기 위한 여야 경쟁도 치열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초고령화로 세대 비중 역전…70대 이상 > 20대 유권자  
 
12일 행정안전부의 '2023년 주민등록 인구통계'(12월 말 기준)에 따르면, 투표권을 가진 18세 이상 유권자 4438만549명 중 60대 이상은 31.43%로, 28.78%의 2030세대보다 많았습니다. 구체적으로 60대는 17.19%(763만708명), 70대 이상은 14.24%(631만9402명)였습니다. 반면 20대는 13.96%(619만7486명), 30대는 14.82%(657만5548명)로 집계됐습니다. 이 밖에 40대 17.85%(792만2134명), 50대 19.59%(869만5699명), 18∼19세는 2.34%(103만9572명) 등이었습니다. 
 
4·10 총선 선거인 명부가 확정되는 오는 3월을 기준으로 보면 6070 유권자 수는 더 많아질 전망입니다. '6070 우위'의 유권자 분포는 전례 없는 현상인데요. 20년간 진행된 초고령화가 유권자 연령의 큰 변화로 이어졌습니다. 2004년 지난 17대 총선 당시 2030 청년세대는 전체 유권자의 47%로, 6070(16.9%)을 3배가량 앞섰습니다. 21대 총선 때도 60대 이상 비중은 27.32%로, 2030 세대(31.27%)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이번 총선에선 70대 이상 유권자도 사상 처음으로 20대를 넘어섰습니다.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집계한 2008년 이래 처음입니다. 지난해 70대 이상 인구가 전년보다 23만7614명 늘어난 반면, 20대 인구는 21만9695명이 줄면서 처음으로 역전 현상이 빚어졌습니다. 지난 2022년만 해도 70대 이상 인구가 608만여명으로 20대 인구 641만여명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여중협 행정안전부 자치분권국장(왼쪽 두번째)이 지난 9일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브리핑룸에서 2023년 말 기준 우리나라 주민등록 인구 및 성별 등이 담긴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민주항쟁 주역 '86세대' 60대 진입…'세대이동' 주목
 
통상 노년층의 투표율은 젊은층의 투표율보다 높습니다. 노년층의 인구 비중이 크게 늘어난 가운데 투표율마저 더해진다면, 노년층이 선거에 미치는 영향력은 막강해질 수도 있습니다. 
 
주목해야 할 점은 이들이 전통적 보수 성향을 띤 단순 노년층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1987년 6월 민주항쟁 당시 도심을 메웠던 대학생들이 50대 후반~60대 초중반이 됐습니다. 유신 철폐 투쟁에 동참했던 넥타이 부대들은 60대 중후반~70대에 접어들었습니다. 즉 현재 50대 후반부터 60대, 70대까지가 군사독재 종식의 주역인 셈인데요. 이들이 현재 어떤 정치적 입장을 갖고 있는지는 일률적으로 규정할 순 없지만, 단순 보수 색채를 띤 노년층만은 아니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분석입니다. 
 
정치권에서도 진보 성향을 지녔던 이들의 '세대 이동' 변화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1기 신도시 표심을 겨냥해 재건축 및 재개발 규제를 전면 완화하며 부동산 심리를 자극하는 것도 같은 맥락에서 바라봐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1기 신도시의 세대주 절반 이상이 6070으로 알려졌기 때문입니다. 여야는 앞으로도 정년 연장, 기초연금 증액 등 중장년층과 노년층을 충족할 맞춤형 정책들을 대거 내놓을 것으로 관측됩니다. 
 
박상병 인하대 정책대학원 교수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민주화와 외환위기를 겪은 86세대가 60세 이상으로 넘어왔다. 세대 이동 효과를 눈여겨봐야 할 것"이라면서 "여야 모두 청년층 표심뿐만 아니라 노년층 표심을 잡기 위한 복지정책 등을 쏟아낼 것"이라고 했습니다. 
 
지난 10일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 원각사 노인 무료급식소 인근 식당가에서 노인들이 점심식사를 위해 줄을 서 있다. (사진=연합뉴스)
 
박진아 기자 toyouja@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