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 쌓이는 지방 미분양…"건설사 부실 초래"
지방 미분양, 수도권의 5배 넘어
"실제 미분양 더 많아"…'10만 미분양설'
"건설사, 투입자금 늘고 대금회수 어려워져"
2023-07-07 06:00:00 2023-07-07 06:00:00
 
[뉴스토마토 김성은 기자] 분양시장 회복이 언급되는 수도권과 달리 지방에서 미분양 문제가 지속되면서 '10만가구 미분양설'까지 제기되고 있습니다. 해당 지역 주택시장과 건설업계의 장기 침체 뇌관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7일 국토교통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 5월 말 지방 미분양 물량은 5만8066가구입니다. 전체 미분양 주택 6만8865가구의 84%를 차지하며, 수도권(1만799가구)의 5배가 넘는 수치입니다.
 
지방 미분양은 2021년 1만6201가구에서 지난해 5만7072가구, 올해 1월 6만3102가구까지 훌쩍 뛰었다가 △2월 6만2897가구 △3월 6만1070가구 △4월 5만9756가구 △5월 5만8066가구로 4달째 감소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같은 현상은 분양 물량 자체가 줄어든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지난해 1~5월 4만8105가구가 지방에서 분양됐는데, 올해 동기 1만8116가구로 급격히 줄었습니다. 10년 평균치(6만1384가구)의 30%에 해당합니다.
 
김승준 하나증권 리서치센터 연구원은 "전국 미분양이 감소하는 모습을 보이지만, 실상은 분양 가구수가 반토막 난 결과"라며 "지역별로 미분양이 증가하는 곳을 보면 분양이 증가하는 지역"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서울과 수도권 청약 수요는 다소 좋은 상황이지만, 이외 지역들은 미달이 발생하는 양극화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그래프=뉴스토마토)
 
'악성 미분양' 주의보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은 증가세입니다. 지난해 12월 6226가구에서 4월 7067가구, 5월 7276가구로 쌓이고 있죠.
 
17개 시·도 중 최다 미분양을 기록 중인 대구에서는 악성 미분양 919가구를 포함해 총 1만2733가구가 주인을 찾지 못했습니다.
 
올해 하반기부터 준공 후 미분양은 늘어날 전망입니다. 2020년 분양승인을 받았던 '동성로 SK리더스 뷰', '동대구2차 비스타동원'을 비롯해 대구 분양시장 경기가 침체 조짐을 보이기 시작한 2021년 공급에 나선 '용계역 푸르지오 아츠베르 1·2단지', '오페라센텀파크 서한이다음', '수성해모로하이엔', '더샵 수성오클레어' 등이 미분양 단지 목록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이들 단지는 올해 준공 예정으로, 남은 물량을 털어내지 못하면 악성 미분양으로 넘어가게 됩니다. 미분양 단지에서는 할인분양과 이자 지원은 물론, 입주 전 계약 취소 시 계약금을 모두 돌려주는 '계약금 안심 보장제'를 시행하는 등 미분양 소진에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올 1월 홍준표 대구시장이 신규 주택건설사업계획 승인 전면 보류라는 강수를 두면서 1~5월 대구 분양 물량은 34가구에 그쳤습니다. 공급을 억제했지만 뚜렷한 미분양 감소세는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1월 1만3565가구에서 5월 1만2733가구로 832가구 줄었습니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미분양이 줄어든 것은 잠재적인 수요가 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이지만 공급이 전혀 없는 상태라 회복 기미로 보기는 어렵다"면서 "신규 분양 시 아직 미분양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더 소진돼야 한다"고 평가했습니다.
 
대구 도심 아파트 모습. (사진=뉴시스)
 
"미분양 10만가구 넘었다"…건설사 부실 초래
 
대구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실제 전국 미분양 물량은 국토부 통계치를 넘어선 10만가구 이상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미분양 통계 조사는 주택사업시행자에게 문의해 집계한 것으로 축소 가능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주택산업연구원은 지난 5일 개최한 세미나에서 "주택경기 침체기에는 실제 청약·계약 기준 미분양보다 30~50% 적게 응답하는 경향이 있다"면서 "현재 실질적인 미분양은 10만가구를 초과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장기 적체 가능성이 큰 지방 미분양에 대해 특단의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건설업과 제2금융권의 부실화가 우려된다"고 강조했습니다.
 
분양 성과가 저조하면 건설사의 공사방식에 따라 자금 투입이 늘어나고, 추후 대금 회수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집니다. 공문주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통상 분양률 70% 이상이면 안정적, 50% 이상이면 일정 수준의 공사비 확보가 가능하다고 본다"면서도 "금리와 공사비 상승, 시장 위축으로 분양률 50~70%에서도 건설사 리스크가 증가한다"고 말했습니다.
 
김성은 기자 kse5865@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강영관 산업2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