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윤민영 기자] 서울시의 광역소각장(광역자원회수시설) 후보지 선정이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광역소각장 후보지 선정을 위한 입지타당성 조사 연구 용역이 벌써 네 번째 미뤄지면서 1년 째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28일 서울시에 따르면 이달 15일 완료하기로 했던 타당성 조사 연구 용역은 3개월 뒤인 9월15일로 미뤄졌다. 이달 말 서울시는 후보지 선정을 위한 회의를 열 계획이지만, 용역 결과가 나오지 않은 상태에서 결과를 도출하는 것은 힘들다는 의견을 보이고 있다.
서울시의 소각지 공모는 지난 2019년 두 차례 진행됐으나 신청 자치구가 없어 무산된 바 있다. 이듬해 박남춘 인천시장이 2025년 인천 서구의 수도권 매립지를 닫겠다고 발표하면서 그해 연말에 서울시는 부랴부랴 입지선정위원회를 위촉하고 2021년 9월까지 용역을 완료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서울에 하루 1000톤의 쓰레기를 처리할 만 한 규모의 부지가 없다는 점 때문에 입지 선정은 제자리 걸음을 걸었다. 사유지까지 후보 입지를 고려했으나 어느 자치구에서도 나서는 곳이 없었다.
지난해는 강동구 고덕·강일지구가 광역 소각장 후보지로 거론되자 강동구 주민은 물론 인근 하남시민들까지 거세게 반발하기도 했다. 이에 서울시는 소각장을 지하화하고, 지상에는 지역 랜드마크 시설을 건립하겠다는 자구책을 내놨다. 그 예로 든 것이 하남 유니온파크와 평택 에코센터다.
반경 500m 이내에 대단지 아파트가 위치한 하남 유니온파크의 경우는 지상에 공원을 조성하고 소각 시설 연기를 배출하는 굴뚝에는 105m 높이의 전망타워를 설치했다. 평택 에코센터는 폐기물을 분해해 전기 등 에너지를 생산하는 환경복합시설로, 지상에는 친환경 공원이 들어서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도 지난 4월 취임 1주년 간담회에서 기존 소각장의 시설 개선에 더해 소각장 같은 기피 시설을 오히려 설치하고 싶은 시설로 만들도록 비용 투자를 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현재 정확한 구상안이 나오지 않은 만큼, 용역 결과가 발표까지 남은 3개월 동안 서울시가 어떤 행보를 보일지는 미지수다.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3개 시·도는 2026년부터 종량제 봉투에 담긴 생활 폐기물을 그대로 직매립 할 수 없는데, 소각장 설치를 위한 구체적인 계획이 마련될 경우 1년 정도는 이를 유예할 수 있다. 1년을 유예하더라도 구체적인 계획이 나와야 할 수 밖에 없는 이유다. 그러나 서울시는 입지선정위원회가 후보지 선정을 할 때까지 구체적인 계획을 확정하지 못하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입지선정위원회도 후보지 선정을 마냥 미룰 수 없다는 입장"이라며 "사유지가 적합하다는 결론이 나올 경우는 감정평가를 토대로 토지주와의 보상 문제도 얽혀 있기 때문에 공사 기간을 고려하면 연내 결론이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서울의 광역 소각장은 강남·노원·마포·양천구 4곳이 있는데, 총 2850톤 용량으로 지어졌지만 시설이 노후 돼 2000톤도 채 소화하지 못하고 있다. 서울시에 의하면 서울에서는 하루에 약 3200톤의 생활 폐기물이 나오는데, 이 중 2300톤 가량을 소각하고 900톤은 매립한다. 시는 광역 소각장에서 소각하지 못하는 폐기물은 민간 시설을 활용하고 있다.
서울 노원 자원회수시설에서 쓰레기가 처리되고 있다. (사진=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유튜브)
윤민영 기자 min0@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의중 금융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