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박용준 기자]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집무실 용산 이전과 더불어 용산공원 조성을 앞당기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지만, 전문가들은 용산공원 조성 시기에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했다.
윤 당선인은 지난 19일 기자회견에서 “무엇보다 올해부터 순차적으로 주변 미군기지 반환이 예정돼있어 신속하게 용산공원을 조성해 국방부 청사를 집무실로 사용할 수 있고 국민들과의 교감과 소통이 이뤄질 수 있다”며 “반환 시기는 6월 전쯤 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6월까지 50만㎡까지 반환 협의
현재 용산공원 부지는 전체 반환 예정 부지 203만㎡ 중 10.7%인 21만8000㎡ 정도만 미군으로부터 반환됐다. 지난달 열린 한미 주한미군지위협정(SOFA) 합동위원장 간 협의에서 올 6월 안으로 전체 면적의 25%인 50만㎡까지 반환이 이뤄질 수 있도록 협의한 상황이다.
반환 대상은 모두 3곳으로 신용산역 인근의 사우스포스트 5만㎡, 숙대입구역 인근 메인포스트 약 9만5000㎡, 지하철 6호선 녹사평역 인근 메인포스트 약 1만㎡다. 인수위 측은 이들 지역에 용산공원을 앞당겨 시민과 함께하는 대통령실을 구현하겠다는 복안이다.
하지만, 2005년부터 용산공원 종합기본계획에 참여한 배정한 서울대 교수는 “국방부의 공원화. 즉 국방부를 정말 개방할 수 있나가 포인트”라며 “이미 반환받은 스포츠 필드와 소프트볼장, 장교숙소 5단지, 여기에 상반기 반환 부지 3곳을 임시 활용한다는 얘기같다”고 설명했다.
"공원 조성은 못한다"
이어 “공원 조성은 못한다. 반환 절차가 끝난 게 아니고 토양 오염 조사도 해야 되고 정화도 해야 되고 또 한미 양국이 그 비용 분담을 누가 할 건지도 합의해야 한다”고 선을 그었다. 전체 용산공원 조성을 앞당기는 것보다 국방부에 인접한 일부 조기 반환 부지를 공원 조성 전에 개방하는 것이 현실적이라는 취지다.
단, 장기적으로 집무실 이전에 따른 국방부 부지 개방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배 교수는 “그동안 용산공원 계획에서 국방부는 절대 못 건드렸다. 국방부의 공원화는 생각의 전환”며 “용산공원이 아주 거대한 국방부에 의해 단절됐는데, 다음이나 다다음 대통령 어느 시점에 공원 속에 대통령실이 갖춰질 수 있다면 설득력이 있다”고 강조했다.
정규석 녹색연합 사무처장은 “(용산으로) 집무실을 옮기는 것을 떠나 세트로 동산·공원을 6월에 만든다는 발상 자체가 황당하다”며 “가장 중요한 건 반환 받는 부지가 제대로 돼 있는지 환경오염이 있으면 어느 정도인지 정화한 다음에, 공원이든 뭐든 돼야 될텐데 앞뒤가 바뀌었다”고 지적했다.
"추산 200억, 실제는 1000억 소요"
특히, 용산공원에 대한 환경오염 오염정화비용으로 수천억원에서 조 단위에 이르는 천문학적인 비용이 투입될 것으로 내다봤다. 정 처장은 “다른 지역 반환 사례를 보면 처음에 우리 정부가 만약에 한 200억 정도 추산을 했으면 실제로 들어간 돈은 1000억이다”며 “용산 미군기지는 훨씬 면적이 넓다. 수천억 아니면 조 단위도 나올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정 처장은 반환 부지를 환경오염 조사·정화작업을 거쳐 공원으로 조성하는 데에만 적어도 7년 이상이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정 처장은 “용산 기지 내부는 정화를 아예 한 적이 없고, 기지 외부만 자꾸 기름이 나오니까 걷어내는 수준”이라며 “국토부에서 조성과정에 7년을 보수적으로 잡았는데, 실제로는 얼마나 어디가 오염됐는지 정보를 알아야 해 7년도 사실 최소한”이라고 설명했다.
정 처장은 조급한 정화작업이나 성급한 반환 협상에 대한 위험성을 경고했다. 정 처장은 “6월에 공원 조성을 한다는 건 정화를 전혀 안 하겠다는 것”이라며 “협상 과정에서 무조건 빨리 받으려면 미군이 원하는 모든 걸 다 들어줘야 한다. 하나는 환경오염 정화를 전혀 안 하겠다라는 것이고 또 하나는 굴욕적인 외교를 하겠다는 것 말고는 방법이 없다”고 얘기했다.
"전체 반환 이전 조성 검토 안 해"
현재 용산공원 조성을 담당하는 국토부 용산공원조성추진기획단은 이미 작년에 장교숙소를 개방한 것처럼 임시 개방은 가능하지만, 전체 반환 이전 부분 조성에 대해서는 검토하고 있지 않다는 입장이다.
기획단 관계자는 “7년이 고정적인 것은 아니지만 다 반환을 받은 걸 N으로 보고 7년 더 걸리는 걸로 지금 계획을 잡고 있다”며 “기지 전체 반환 이후 전체 조성을 목표로, 일단 부분 반환받은 부지는 공원 조성하기 전에 임시 개방해 활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2020년 8월부터 부분개방된 옛 미군 장교 숙소 5단지에서 역사문화해설사가 시민에게 설명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박용준·유근윤 인턴기자 yjunsay@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