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눈)2금융 부실 위험 대비해야
2021-06-21 06:00:00 2021-06-21 06:00:00
이르면 10월 국내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거론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조기 금리 인상을 시사하며 무게를 더했다. 코로나19 확산세가 둔화하고 백신이 보급되면서 코로나 이전으로 경제를 정상화하기 위한 조치다. 저금리가 장기화하면 부채가 확대되고 물가가 급격히 상승하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라는 긴 터널을 통과하는 긍정적인 시그널이지만 누군가에게는 위기가 될 수 있다. 금리 인상 시 대출 금리도 동반 상승하는 이유에서다. 특히 카드사 등 2금융에서 연체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이미 코로나 여파로 중저신용자의 자금난이 커지면서 대출 공급이 크게 늘었다. 나이스신용평가에 따르면 지난해 7개 전업 카드사의 대출자산은 4조5027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말 대비 67% 상승했다. 79개 저축은행의 여신 자산도 77조6675억원을 기록해 전년보다 10조원 넘게 증가했다.
 
무엇보다 다중 채무자 이용 비중이 높다는 게 문제다. 한국신용평가가 '카드대출 다중채무자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말 기준 3건 이상의 카드론을 이용 중인 고객은 54.9%를 기록했다. 2건 이상은 20%, 1건은 10.4%였다. 3건의 이상의 현금서비스를 이용한 다중채무자도 8.5%였다. 저축은행 역시 다중채무자 비중이 일반 시중은행보다 높아 금리 인상 시 건전성 악화가 심화될 가능성이 높다.
 
업계에서 감지하는 분위기도 심상치 않다. 당국이 대출 원리금 상환 유예 정책을 연장하면서 이연된 부실이 한꺼번에 터질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금융당국은 오는 3월 종료하기로 한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대상 원리금 상환 유예 조치를 오는 9월말까지 연장했다. 해당 조치로 지난해 말 연체율이 일제히 하락한 것은 오히려 잠재된 부실 위험이 작지 않음을 예고한다.
 
금리 인상 시점이 도래하기 전 부실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중저신용자와 다중채무자의 부실이 확산하면 금융권을 넘어 국가 경제를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 우선 정부는 부실 위험이 완화되도록 저신용자를 포용할 수 있는 대환대출 상품을 확대해야 한다. 장기간에 걸쳐 차주가 대출금을 상환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금융업권도 과도하게 고객을 늘리거나 무작정 대출 취급을 중단하려고 하기보다 신용평가시스템(CSS)을 고도화해 선별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코로나가 아직 종식되지 않은 점을 고려해 민관이 힘을 합쳐 장기적인 금융 안전망을 설계하는 노력이 절실한 때다. 
 
김응태 기자 eung1027@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