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동혁, 대통령 회담 '조건부 수용'…속내는 '정기국회 주도권' 확보
"대통령과 여야 대표 회동 물밑 조율"
정기국회 개회 앞두고 여야 충돌 예상
장동혁, 사무총장에 'TK 정희용' 임명
2025-08-31 17:17:54 2025-09-01 09:41:45
장동혁 국민의힘 당 대표가 3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비공개 회의를 위해 이동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뉴스토마토 이진하 기자]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 이재명 대통령의 여야 지도부 회동 제안에 대해 '조건부 수용' 입장을 밝혔습니다. 향후 단독 회담을 약속한다면, 응하겠다는 건데요. 제1야당 대표로서 존재감을 키우는 동시에 9월 정기국회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됩니다. 이런 가운데 장 대표는 31일 당 사무총장에 대구·경북(TK) 출신의 정희용(경북 고령·성주·칠곡) 의원을 임명, 체제 구축에 속도를 냈습니다. 신임 정책위의장에 부산·울산·경남(PK)인 김도읍(부산 강서) 의원을 발탁했습니다. 
 
(그래픽=뉴스토마토)
 
'단독회담'으로 주도권 싸움 이어가는 국힘
 
대통령실은 이날 이재명 대통령과 여야 지도부 회동에 대해 "현재 물밑 협의로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동안 장 대표는 이 대통령의 통합 행보에 '들러리 설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는데요. 회담 전 '형식과 의제'가 명확해야 수용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였습니다.
 
실제 장 대표는 지난 27일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이 예방하며 이 대통령의 초청 의사를 밝히자 "단순 만남은 큰 의미가 없다"며 즉답을 피했습니다. 그러나 28일 이 대통령이 일본과 미국 순방을 마치고 돌아와 '여야 지도부 회동'을 공식화하자 장 대표는 "여야 회동을 수용할 수 있지만, 1대1의 민생 논의도 필요하다"고 역제안 했습니다. 
 
이후 박 수석대변인도 30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29일 장동혁 대표가 일대일 회담을 가까운 시일 내 잡아달라 했고, 이와 연계해 의제와 내용을 논의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가급적 국민들의 민생과 관련된 내용이 두 분 사이에서 논의되는 자리가 만들어져야 한다"고 밝혔는데요. 그러면서 "이미 공은 대통령실로 넘어가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장 대표가 전당대회 기간을 비롯해 대표직 수락 연설을 할 때만 해도 "모든 우파 시민과 연대"를 강조하며 이재명정부와 대립각을 세웠던 것과 다른 모습입니다. 이 같은 장 대표의 행보에 정치권에서는 다양한 시각이 존재합니다. 
 
먼저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한다면 '들러리만 섰다'는 비판이 당내 강경 지지층을 중심으로 쏟아져 나올 가능성이 큰데요. 이를 피하기 위해 1대1 회담을 요구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정기국회를 앞두고 소수 야당 대표로서 국민의힘이 원하는 의제를 관철하려는 목적이 있을 것이란 분석도 나옵니다. 
 
(그래픽=뉴스토마토)
 
쟁점법안으로 여야 충돌 예상되는 정기국회
 
이에 따라 대통령과 여야 지도부 회담은 이재명정부 첫 정기국회의 분수령이 될 전망입니다. 1일 국회는 100일간의 정기국회 열전에 돌입합니다. 이번 정기국회에서는 먼저 최교진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와 이억원 금융위원장 후보자의 청문회가 예정돼 있습니다. 9일과 10일에는 각각 민주당과 국민의힘이 교섭단체 대표 연설이 예정됐고, 15~18일까지는 대정부 질문이 이어집니다. 또 이 기간 중 권성동 의원의 구속 영장 실질 심사 후 '체포동의안' 가능성도 점쳐집니다. 
 
민주당이 추진하는 검찰·언론·사법 개혁 등 각종 쟁점 법안 처리를 두고 본격적인 대치 국면에 들어갈 전망입니다. 특히 3대 특검의 수사 기간과 인력, 범위 등을 늘리는 내용을 담은 '더 센 특검법'이 뇌관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소수 야당인 국민의힘은 수사가 진행 중인 3대 특검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는데요. 지난 전당대회 기간 당사 압수수색을 시도하려고 한 만큼 특검을 통한 '정치보복'이란 주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여기에 직전 지도부였던 권성동 의원의 구속 영장 청구 등을 앞두고 있는 상황이라 강대강 대치가 이어질 것이란 분석입니다. 
 
이에 맞서 국민의힘은 대통령과 공범 관계에 있는 자를 감형·복권 대상에서 제외하는 '사면법 개정안'을 포함한 100대 입법 과제를 발표해 역공에 나섭니다. 다만 의석수를 고려하면 이번 정기국회에서 여당 주도로 주요 법안을 상정하고 통과시킬 수 있는데요. 이에 야당은 필리버스터(무제한 토론을 통한 합법적인 의사진행 방해)로 맞서며 입법 저지를 늦추는 방안을 택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진하 기자 jh311@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