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정기종 기자] '중이'는 고막부터 달팽이관 이전의 이소골을 포함한 공간으로 고막과 이소골, 유양동이라는 귀 주변의 뼈까지 포함된다. 중이염은 이곳에 발생하는 모든 염증성 변화를 말한다. 소아에서 주로 발생하는 급성 중이염은 대부분 후유증 없이 개선되는 경우가 많지만, 중이염을 가볍게 여겨 치료를 소홀히 하면 만성 중이염으로 악화된다.
중이염은 환절기처럼 면역력이 약해지는 계절에 환자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중이염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4월과 12월에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이염은 소아에서 발생이 많은데, 귀와 코를 연결하는 이관을 타고 바이러스나 세균이 중이 안으로 들어가 발생하며, 감기와 같은 바이러스 감염, 간접흡연 등이 주요 원인이다.
대부분의 급성 중이염은 후유증 없이 치유되지만 3개월 이상 염증이 완전히 치료되지 않으면 만성화된다. 특히 말을 배우거나 학습을 하는 나이에 치료 없이 방치하면 난청이 오고 이로 언어장애나 인지발달의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가장 흔한 증상은 귀에서 고름이 나오는 증상인 이루와 난청, 이명 등이다. 드물게는 염증이 뇌로 진행해 뇌농양 등의 합병증이 발생,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변재용 강동경희대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난청은 처음에는 심하지 않고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악화돼 적응이 되고 통증이 없어 이를 방치하기 쉽다"라며 "심하면 이통과 안면 마비, 어지럼증도 나타날 수 있는데 이때는 중이염의 합병증 가능성이 높아 주의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급성 중이염은 대부분 개선되지만 치료를 소홀히 하면 만성으로 악화된다. 서울시 노원구가 진행한 청력검사를 진행 중인 어르신들 모습. 사진/뉴시스
중이염의 진단은 증상과 고막 관찰을 통해 비교적 쉽게 진단할 수 있다. 이경, 현미경 또는 이내시경을 통해 외이도, 고막, 중이 점막의 상태를 검사하며 이루가 있으면 세균배양과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시행해 정확한 항생제를 쓰는 것이 좋다.
또 만성중이염에 의한 난청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순음 청력 검사를 비롯한 여러 가지 청력 검사를 시행한다. 본격 치료를 위해서는 측두골 전산화단층촬영(CT)으로 중이염의 범위, 이소골 및 주변 골조직의 파괴 여부, 내이 구조물에 대한 침범 여부 등을 알아보고 치료 방침을 결정한다.
성인이 되는 과정에서 점차 고막에 천공이 생기거나 유착성 중이염, 진주종성 중이염 등으로 악화하기도 한다. 성인의 만성 중이염은 고막에 구멍이 뚫린 소견을 보이는 천공성(비진주종성) 만성 중이염과 고막의 천공 여부와 관계없이 진주종 형성이 나타나는 진주종성 중이염으로 나눌 수 있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 치료 방침을 결정하는데, 수술적 치료 위험성이 높으면 점이액, 항생제 투여 등의 내과적 치료를 시행한다. 하지만 만성 중이염은 약물치료로 완치가 되지 않아 수술 치료가 필요하다.
천공성 만성 중이염의 수술 방법으로는 만성 염증이 존재하는 유양돌기 뼈를 제거하여주는 유양돌기 절제술과 중이 내부를 깨끗이 정리하고 고막을 새로 만들어주는 고실 성형술을 함께 시행한다. 진주종성 중이염은 주변의 뼈를 파괴하면서 점차 진행되고 여러 합병증을 일으키므로 반드시 수술 치료를 해야 한다.
진주종이 광범위하거나 중요한 부분을 침범해 한 번의 수술로 완전히 진주종을 제거하기 곤란한 경우에는 처음 수술 후 6개월 이상 지난 후에 잔존 진주종을 제거하기 위한 2차 수술을 하는 경우도 있다. 최근에는 내시경을 이용해 절개하지 않고 고실 성형술이나 작은 진주종 제거를 할 수 있다. 입원 기간과 수술 시간이 단축돼 좋은 결과를 보인다.
정기종 기자 hareggu@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