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최승근기자] 전국 6000여 공인중개사들이 올해 주택 거래량에 대해 매매는 감소하고 전세와 월세는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으로 전망했다. 또 올해 주택시장에 가장 큰 영향요인으로는 금리 등 국내 실물 경기지표 변화와 추가적인 부동산정책 방향을 꼽았다.
한국감정원은 전국 6000여 우수협력공인중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7년 주택시장 전망'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올해 주택가격에 대한 전망은 매매·전세·월세 모두 보합 의견이 과반 이상(매매54.8%, 전세66.1%, 월세64.8%)으로 나타난 가운데, 보합 응답자를 제외할 경우 모든 응답 지역과 거래유형에서 소폭 하락 응답이 가장 높았다.
거래량에 대한 전망은 지난해와 비교해 매매는 감소할 것(63.1%)으로 가장 많이 응답했으나, 전·월세는 비슷할 것(전세58.6%, 월세60.2%)으로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매매시장에 대한 가격 전망은 보합을 과반이상 응답(54.8%)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보합 응답자를 제외하면 소폭 하락 의견(22.9%)이 많았다. 상승 전망에 대한 주요 이유는 매매전환 수요 증가(53.9%), 하락 전망 주요 이유는 대출 및 주택금융 규제(26.2%)로 응답했다.
응답 지역별로는 전반적으로 전국, 수도권, 지방이 비슷한 분포를 보였으나, 하락 전망 이유를 수도권은 금리 상승(27.6%)으로 가장 높게 응답한 반면, 지방은 신규공급물량 증가(28.2%)로 응답했다.
전세시장에 대한 가격 전망은 보합 의견(66.1%)이 가장 우세한 가운데, 지난해 하반기 주택시장 전망조사 결과와 비교할 경우 상승 응답률이 낮아진 것(39.4%→12.8%)으로 나타났다.
상승 전망 주요 이유는 매수 관망세로 인한 전세수요 증가(57.6%), 임대인 월세선호로 전세물량 감소(27.1%), 하락 전망 주요 이유는 신규주택 전세공급 증가(50.1%), 매매가격 하락에 따른 동반하락(37.8%)으로 응답했다.
월세시장에 대한 가격 전망은 보합(64.8%), 하락(31.5%), 상승(3.6%) 순으로 응답했고, 상승 전망 주요 이유는 전세가격 상승 및 전세매물 부족으로 인한 준전세 중심의 임차인 월세전환 증가(46.3%), 전세자금대출 금리 상승에 따른 반사효과(28.4%) 등으로 나타났다.
하락 전망 주요 이유는 신규 및 대체주택 월세공급 증가(40.9%), 주거비 부담으로 월세수요 감소(34.2%)를 높게 응답했다.
응답 지역별로는 전반적으로 전국, 수도권, 지방이 비슷한 분포를 보였으나, 하락 전망 이유를 수도권은 주거비 부담으로 월세수요 감소(41.9%), 지방은 신규 및 대체주택 월세공급 증가(44.5%)로 응답하며 차이를 보였다.
거래량에 대한 전망은 매매는 지난해 대비 감소할 것(63.1%)으로 보는 응답이 가장 많은 가운데, 응답 지역별로는 지방에 비해 서울 및 수도권에서 감소할 것으로 보는 의견이 많았다.
전세와 월세는 비슷할 것(전세58.6%, 월세60.2%)으로 보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나 이를 제외할 경우 수도권과 지방 모두 거래량이 증가하기보다는 감소할 것이라는 의견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올해 주택시장에 가장 큰 영향요인은 금리, 민간소비, 가계부채 등 국내 실물 경기지표 변화(34.0%), 추가 부동산정책 방향(20.5%), 거시경제 및 대외 경기 변화(18.7%), 주택공급물량 정도(17.0%)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아울러 수도권과 지방 모두 국내 실물 경기지표 변화를 가장 큰 영향요인으로 보았으며, 그 외 수도권은 추가 부동산정책 방향(21.9%)과 거시경제 및 대외 경기변화(21.8%), 지방은 주택공급물량 정도(21.5%)를 주요 영향 요인으로 응답했다.
올해 호황이 예상되는 부동산유형은 신규분양 아파트(18.8%), 상가(18.2%), 토지(11.4%), 재건축? 재개발(10.7%), 기존아파트(10.4%) 등의 순으로 응답한 가운데 수도권은 상가(17.2%), 지방은 신규분양 아파트(20.9%)의 호황을 예상하는 응답률이 가장 높았다.
침체가 예상되는 부동산유형으로는 기존아파트(26.4%), 신규분양 아파트(13.1%)로 나타났으며, 수도권과 지방 모두 기존아파트 침체를 예상하는 응답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최승근 기자 painap@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