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최승근기자] 전국 도시형생활주택 준공물량이 33만가구를 넘었다. 도시형생활주택은 1~2인 가구 전·월세 불안 해소를 목적으로 2009년 4월 탄생했다. 아파트와 달리 6개월에서 1년이면 준공이 가능한 장점으로 인해 2011년 이후 준공물량이 급증했다.
하지만 도시형생활주택의 최초 도입 목적과 달리 전·월세시장은 2009년 대비 더 불안해졌고, 단기간 내 준공돼 주차장이나 기반시설 등의 주거환경이 취약해지는 등 부작용이 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9일 부동산114가 도시형생활주택 공급물량을 분석한 결과 올 3월까지 총 33만959가구가 준공된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 78가구가 준공된 이후 2010년에 2615가구가 공급됐으며 2011년(2만3975가구)부터 폭발적인 증가세를 나타냈다. 이후 2012년(5만3735가구), 2013년(8만6120가구), 2014년(7만5328가구), 2015년(7만909가구) 등 연평균 7~8만가구가 준공됐다.
같은 시기 오피스텔은 연평균 3만3000실 가량이 입주(준공)한 점에 비춰보면, 오피스텔 대비 2배 이상 물량이 쏟아진 수준이다. 게다가 올 1분기에 1만8199가구가 준공되며, 추세로 보면 올해 12월까지 약 7만가구 가량이 더 준공될 것으로 예상된다.
단기간 물량이 늘어나면서 지역별 물량 쏠림도 심화됐다.
전국 33만959가구 중 서울에 34.1%(11만2943가구)가 집중됐고 경기(24.8%, 8만1991가구), 부산(12.0%, 3만9678가구) 등에 전체물량의 70% 이상이 쏠렸다.
도시형생활주택은 오피스텔과 경쟁관계를 형성하고 있어 물량이 쏠린 서울지역의 경우 임대수익률 하락의 주요 요인으로도 지목된다. 특히 서울 내에서도 강남보다는 강서구나 영등포구, 구로구 등 서남부권 쏠림이 심한 편이어서 초과공급 우려감이 높다.
도시형생활주택은 1~2인 가구를 주요 공급 대상으로 하면서 10채 중 6.5채는 원룸형으로 공급됐다.
다양한 유형이 공급되지 못한 이유는 원룸형 도시형생활주택이 아파트 등 공동주택에 적용되는 여러 가지 법 규정에 예외사항으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결국 주거환경은 상대적으로 더 열악해졌다. 특히 원룸형은 주차장이 세대 당 0.5~0.6대 기준이어서 주차공간 확보가 어렵고 진입도로는 좁아 화재나 지진 등의 재난에 취약하다. 과도한 규제완화가 지난해 발생한 의정부 화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기도 했다.
김은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 팀장 "지역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우후죽순 쏟아지다 보니 초기 조성 목적이었던 1~2인 가구의 전·월세 불안 해소조차 요원해지는 상황"이라며 "제도 보완과 지역별 공급량 조절을 통해 거주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형태로의 개선 노력이 시급하다"고 전했다.
최승근 기자 painap@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