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승국기자] 급팽창하고 있는 ‘제2금융권’이 우리경제의 가장 큰 위험요소로 급부상했다.
특히 가계대출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제2금융권의 총 자산은 900조원에 육박했다.
이는 우리나라 한해 총생산(GDP)과도 거의 맞먹는 수준이며, 가계대출은 내년 상반기 중 무려 300조원을 넘어 설 것으로 추정돼 심각성을 더 하고 있다.
15일 금융당국 등에 따르면 올해 6월말 기준으로 저축은행·신협·카드·여신전문·보험 등 대출을 취급하는 제2금융권 총자산은 889조1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08년 6월말 610조4000억원보다 불과 3년 만에 45.7%(278조7000억원) 불어난 규모다.
은행권의 총자산 증가세보다 훨씬 가파르다. 같은 기간 은행권의 총자사은 1737조3000억원에서 1916조3000억원으로 179조원(10.3%) 늘었다.
제2금융권 총자산이 은행권의 절반에 육박한 것으로, 우리나라의 한해 총생산(지난해 명목 GDP 1173조원)과 비슷한 수준이다.
업권별로는 신협이 65.7%, 카드·여전업이 60.8%, 보험이 42.5%씩 성장했다.
저축은행은 올해 영업정지 사태가 불거지면서 21.6% 성장에 그쳤다.
문제는 제2금융권의 급성장이 가계대출 급증에 따른 것이란 점이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 잔액은 11월말 289조3000억원으로 은행권 가계대출 잔액 452조원의 3분의2에 달했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올해 하반기 들어 13조5000억원(4.9%) 늘었다. 은행권이 9조6000억원(2.2%) 늘어났다는 점을 감안하면 증가율과 증가액도 앞섰다.
금융당국에서는 제2금융권 가계대출이 이런 추세로 늘어날 경우 내년 상반기 중에 300조원을 넘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제2금융권에 팽배한 다중채무자 문제도 심각한 상황이다.
개인신용평가사 코리아크레딧뷰로(KCB)에 따르면 금융회사 3곳 이상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의 30%는 ‘한계차주’로 불리는 신용등급 7등급이었다.
다중채무자는 주로 제2금융권에서 대출받는 5~7등급에 65%가량 분포하고 있으며, KCB는 전체 평가대상 약 4000만명 중 30%를 5~7등급으로 분류했다.
금융당국이 제2금융권의 급팽창이 우리 경제의 가장 큰 위험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한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금융당국은 이에 따라 내년 2월까지 제2금융권 대출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조사를 벌일 방침이다.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