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박창욱 기자] 글로벌 에너지 기업 리더들이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액화천연가스(LNG) 산업의 미래 비전과 역할을 논의하기 위해 경주에 모입니다. 이번 회의에서는 세계 최대 LNG 수요처인 동북아 지역의 수급 안정과 지속가능성, 그리고 AI 확산에 따른 전력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LNG의 전략적 역할 등이 논의될 예정입니다.
‘아시아 퍼시픽 LNG 커넥트’가 열릴 경주 예술의전당. (사진=뉴시스)
27일 SK이노베이션은 오는 31일 경북 경주에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 ‘아시아 퍼시픽 LNG 커넥트’ 세션을 개최한다고 밝혔습니다. SK이노베이션을 비롯한 6개국 10개 에너지 기업의 주요 리더들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에너지 안보, 가격 경쟁력, 공급 안정성 및 지속가능성 확보 방안을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논의할 계획입니다. 최재원 SK그룹 수석부회장, 추형욱 SK이노베이션 대표이사 등이 이 행사에 참여합니다.
세션 1에서는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LNG의 역할과 지속가능성 강화’를 주제로, AI 혁신으로 인한 전력 수요 증가 속에서 LNG가 원전의 경제성을 보완하고 석탄을 대체하며 핵심 에너지원으로 부상한 배경이 논의됩니다. LNG가 단순한 ‘브릿지 연료’를 넘어 최종 에너지 믹스의 핵심 축으로 재정의되고 있다는 점도 다뤄질 예정입니다.
이 세션에는 해롤드 햄 콘티넨탈 리소시스 명예회장이 미 LNG 산업의 성장 요인과 잠재력을 소개하고, 션 피트 산토스 부사장은 SK이노베이션·일본 제라와 공동 개발 중인 호주 바로사 가스전 및 뭄바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CS) 허브 구축 사례를 공유합니다. 이들은 아태지역 기업 간 협력을 통한 글로벌 LNG 시장 확대 방안을 모색하고, CCS를 연계한 저탄소 LNG 밸류체인 확대 등 탈탄소 전략의 구체적 실행 방안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세션 2는 ‘미국 LNG 전망’을 주제로, 추 대표이사가 미국산 LNG의 가격 경쟁력과 계약 유연성을 활용한 포트폴리오 구축 사례를 발표합니다. 해롤드 햄 명예회장은 미국이 세계 최대 LNG 공급국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기술 혁신과 인프라 투자, 정책적 지원을 설명합니다.
또한 넥스트데케이드, 프리포트LNG, 오사카가스, 한화퓨처프루프 등 글로벌 기업 패널들이 AI 데이터센터 확대로 인한 전력 수요 증가 대응 방안과 LNG 발전의 전략적 활용 방향을 제시합니다. 아울러 지정학적 불확실성 속 아태지역 에너지 안보와 미 LNG의 중요성도 다각도로 논의됩니다.
추 대표이사는 “LNG는 AI 혁신과 아태 지역 경제 성장으로 인한 전력 수요 급증에 대응하는 동시에,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보완하고 석탄 발전을 대체할 핵심 에너지원”이라며 “이번 세션을 통해 에너지 안보·공급망 안정성·탈탄소 전환을 가속화할 국제 협력 모델이 제시되길 기대한다”고 했습니다.
박창욱 기자 pbtkd@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오승훈 산업1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