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지은 기자]
KT(030200) 불법 소액결제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해 접속 기록을 전수조사해야 한다는 시민단체 주장이 나왔습니다. 미국 보안 전문 매체 프랙(Frack)을 통해 2022~2023년 개인정보가 유출된 정황이 확인된 점을 감안하면, KT가 2024년 8월 이후로 유출 가능성을 제한한 것은 부적절하다는 비판입니다. 전국 이용자 정보 유출 가능성도 있는 만큼, 고객 전체를 대상으로 유심 교체와 위약금 면제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서울YMCA 시민중계실은 20일 "소액결제 추가 피해가 확인됐음에도 피조사자인 KT가 또다시 자체 조사 결과를 확정적 사실처럼 발표했다"며 "KT의 세 번째 브리핑은 조사단의 공식 결과로 오인될 소지가 크다"고 지적했습니다.
서울YMCA는 KT가 여전히 자사 이익 중심의 태도를 버리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추가 피해 사실을 즉시 안내하지 않고, 지난 18일 브리핑 시점까지 피해자를 모아 일괄 통보한 것은 "사업자 중심의 안일한 대응"이라는 것입니다. 또한 기존에 알려진 피해 지역 외에도 강원을 포함한 수도권 54개 시·군·구로 결제 피해가 확산된 만큼 전국 단위의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밝혔습니다.
서창석 KT 네트워크부문장이 지난 17일 소액결제와 개인정보 유출 피해 관련 전수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뉴스토마토)
시민중계실은 KT가 전수조사라고 밝힌 조사 방식 역시 한계가 명확하다고 지적했습니다. KT는 특정 패턴을 기준으로 일부 기지국의 접속 기록만 분석했는데요. 서울YMCA는 "이는 조사 기간과 분석 범위를 임의로 제한한 것에 불과하다"고 주장했습니다. 특히 ARS, PASS, SMS 등 인증 정보 외에도 이름·생년월일 등 신상 정보가 결합돼야 소액결제가 가능한 만큼, 피해 범위를 축소하고 있다고도 했습니다.
서울YMCA는 KT에 대해 전 기지국 접속 기록 전수조사 실시, 이용자 피해 접수 창구 개설, 전 이용자 대상 문자 고지와 유심 교체, 위약금 면제 등을 즉각 시행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지난해 8월 이전에도 유출 피해가 있었을 가능성이 높고, 추가 피해가 확인되는 대로 즉시 안내와 보상이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서울YMCA 시민중계실은 "KT의 소극적이고 제한적인 조사는 국민의 안전과 권익을 보호하지 못하고 있다"며 "국민 신뢰 회복과 피해 확산 방지를 위해 전면 조사와 실질적인 보상 조치를 조속히 이행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지은 기자 jieunee@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나볏 테크지식산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