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박재연 기자] 국가 정보보호 체계가 실제 공격 환경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우려가 나오면서 정부의 사이버 보안 관리 부실이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최근 정부기관까지 해킹 피해 대상으로 지목된 가운데, 정부의 디지털 보안 대응 체계 전반에 대한 점검 요구가 이어졌습니다.
1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과기정통부 국정감사에서 조인철 민주당 의원은 "올해 8월 미국 해킹 전문 매체 ‘프랙(Frack)’ 보고서에 따르면, 다수의 정부 부처가 해킹 피해 대상에 포함됐다"며 "정부 시스템이 전반적으로 침해됐을 가능성이 있는 상황에서 대책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는데요.
조 의원은 최근
SK텔레콤(017670),
KT(030200), 롯데카드 해킹 사태로 인해 온 국민이 큰 피해를 입은 상황을 언급하며 "단돈 20만원도 안 하는 USB 케이블 장비로 정부 네트워크에 침입이 가능하다는 점이 드러났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쉽게 구입 가능한 이 장비는 국회 출입 시에도 별다른 보안 제지가 없었는데, 민간 기업은 이보다 더 취약할 것"이라며 "과기정통부 내에도 이를 탐지하거나 차단할 장치가 없는 만큼, 정보보호관리체계(ISMS) 인증에 그치지 말고 실제 침투 가능성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일각에서는 해킹 사고 조사 당시 과기부와 국정원간 알력 다툼이 있었다는 지적도 제기됐습니다. 신성범 국민의힘 의원은 "국정원에 따르면 '과기정통부의 반대로 사고 대응에 참여하지 못하는 등의 사례가 있었다'고 했다"며 "과기정통부가 SK텔레콤 조사 주도권을 뺏길까봐 국정원의 참여를 원하지 않은 것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온다"고 설명했습니다.
13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배경훈 부총리 겸 과기정통부 장관이 업무보고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배경훈 부총리 겸 과기정통부 장관은 "보안체계 개선을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며 추후 대응을 약속했습니다.
박재연 기자 damgomi@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나볏 테크지식산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