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식약처)
[뉴스토마토 동지훈 기자] 정부와 업계가 필수의약품 공급 활성화를 위한 논의의 장을 마련했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와 국가 필수의약품 공급 안정화·지원 국정과제 이행을 위한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 네트워크(이하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이를 개시하는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26일 밝혔습니다.
이재명정부 국정 과제에 오른 국가 필수의약품 공급 안정화·지원 주요 내용은 △mRNA 백신 등 차세대 백신 플랫폼 기술 개발 △국가 필수의약품·의료기기 공급 안정화 및 지원 △국산 원료 의약품 인센티브 확대 등입니다.
네트워크는 필수의약품 제조가 개시되는 단계부터 유통에 이르는 공급망 단계를 포괄해 지원하며, 향후 주문생산 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한 대상 선정 및 행정적·기술적 지원 사항을 체계적으로 논의하고 제약사에 필요한 인센티브를 제도에 반영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국가 필수의약품 주문생산 사업 골자는 공급이 중단됐거나 중단될 우려가 있는 품목 중 국내 생산을 통한 안정적 공급이 필요한 경우 민간 제약사의 생산 역량을 활용해 국가 필수의약품 생산을 정부가 지원하는 내용입니다. 식약처와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는 지난 2016년부터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사업의 일환으로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사업은 제약사가 허가 품목을 생산하면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가 구매와 공급을 담당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현재 6개 제약사가 참여하고 있으며 7개 국가 필수의약품 생산 지원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식약처와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는 이번 간담회에서 필수의약품 주문생산 사업 현황과 네트워크 운영 방향을 공유했습니다. 업계에선 주문생산 사업에 참여하면서 느낀 애로 사항을 공유하고 향후 주문생산 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 개선과 지원 필요 사항을 건의했습니다.
식약처는 "앞으로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민관이 협력해 국가 필수의약품의 국내 생산체계를 확고히 하도록 노력하겠다"며 "이를 통해 의료 현장 및 환자분들에게 안정적으로 의약품이 공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동지훈 기자 jeehoon@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강영관 산업2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