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무단 소액결제 '초소형 기지국' 원인 추정…은폐 의혹도 제기
트래픽 탈취 통한 소액결제 가능성
"이상 징후 없었다"는 KT…국회·시민단체 "축소·은폐 의혹"
2025-09-10 14:29:14 2025-09-10 15:53:31
[뉴스토마토 이지은 기자] 경기도 광명시와 서울 금천구 일대를 중심으로 발생한 KT(030200) 무단 소액결제 사태 원인으로 관리 사각지대에 있는 초소형 기지국(펨토셀)이 지목됐습니다. 해커가 해당 기지국으로 유입되는 트래픽을 가로채 소액결제를 했을 것이란 추정이 나옵니다. 소액결제 사태 발생 직후 KT는 "이상 징후가 없었다"고 밝힌 바 있는데 이를 두고 피해 사실을 은폐하려 했다는 지적마저 일고 있습니다. KT는 현재까지 개인정보 유출은 없었다는 입장입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8일 KT가 무단 소액결제 침해 사고 원인의 하나로 불법 초소형 기지국의 통신망 접속을 언급했다고 10일 밝혔습니다. 이와 관련해 지난 9일 새벽 1시 KT에 불법 기지국이 통신망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즉각적인 대책도 요구했습니다. 
 
과기정통부는 "해커가 불법 초소형 기지국을 활용해 정보를 탈취했는지와 어떤 방식으로 무단 소액결제가 이뤄졌는지에 대해 정밀한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민관합동조사단은 관련 내용을 조사 중입니다. 
 
서울 종로구 KT 광화문 사옥. (사진=뉴시스)
 
업계에서는 무단 소액결제에 사용된 초소형 기지국으로 펨토셀을 지목하고 있습니다. 펨토셀은 반경 10m 통신을 제공하는 초소형 기지국입니다. 주로 가정이나 소규모 사무실용으로 쓰이는데요. 데이터 통신량 분산이나 음영지역 해소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해커가 관리가 되지 않는 펨토셀을 탈취한 후 이를 따라 만든 가짜 기지국을 만든 후 이 인근에 머문 이용자의 트래픽을 가로챈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KT는 개인정보 해킹 정황은 없는 것으로 확인했다는 입장입니다. KT는 "지난 5일 새벽부터 비정상적인 소액결제 시도를 차단했으며, 이후 현재까지 추가적인 발생이 확인되고 있지 않다"고 입장을 밝혔습니다. 
 
KT의 무단 소액결제 사태가 확대되는 가운데 KT가 이번 사태를 은폐하려 했다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소속 황정아 민주당 의원실이 과기정통부로부터 제출받은 KT의 사이버 침해 사실 신고서에 따르면 KT는 지난 8일 사태 발생 시간에 대해 '확인 불가', 피해 사실 인지 전 이상 징후는 '없었음'으로 신고했습니다. 경찰이 지난 1일 KT에 이상 사실을 알렸음에도 KT는 해킹 불가능이란 반응을 보인 것으로 전해집니다. 황정아 의원실은 "언론보도와 경찰 조사 등으로 소액결제 해킹 사고를 인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수일이 지난 8일에 이뤄진 침해 사고 신고서에는 피해 사실 인지 전 이상 징후가 없었다고 명시했다"고 지적했습니다. 
 
황정아 의원은 "경찰 접촉으로 사건의 윤곽이 전달된 상황에서 이상 징후마저 없었다고 신고한 것은 사안을 축소·은폐해 KT의 법적 책임을 회피하려는 의도가 아니라면 설명하기 어렵다"며 "조사 정보의 투명한 공개와 재발 방지 대책 마련, 피해 배상 등 전방위적 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시민단체에서는 피해 확산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고객 문자 안내와 피해 실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고 있습니다. 사태의 전후 관계와 회사의 책임을 따지기 전에 가입자 보호 조치가 필요하다는 취지입니다. 서울 YMCA시민중계실은 "전체 이용자 문자 고지를 통해 고령층·디지털 소외계층을 포함한 모든 가입자에게 현 상황과 피해 확인 방법을 쉽게 안내하는 문자를 즉시 발송해야 한다"며 "알뜰폰을 포함한 KT망을 이용하는 이용자 피해 실태 파악이 신속히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KT 전체 가입자와 망 이용자를 대상으로 피해 실태 전수조사도 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지은 기자 jieunee@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나볏 테크지식산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