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5년 04월 29일 17:32 IB토마토 유료 페이지에 노출된 기사입니다.
[IB토마토 최윤석 기자]
유진기업(023410)이
YTN(040300)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한다. 유진그룹은 윤석열 정부 시절 보도전문채널 YTN의 지분 인수자로 선정됐다. 하지만 탄핵 이후 YTN 민영화 정당성을 둘러싼 각계 반발에 직면하고 있다.
2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유진기업은 자회사 유진이엔티의 유상증자에 참여한다고 밝혔다. 유진기업이 인수하는 주식 총량은 유진이엔티 보통주 153만주로 출자금액은 총 153억원이다.
(사진=전자공시시스템)
유진이엔티는 YTN 지분 인수를 위해 만든 특수목적법인(SPC)이다. 유진그룹 지주사 유진기업이 지분의 51%, 유진그룹 계열사 동양이 49%를 각각 출자해 지난 2023년 설립됐다.
앞서 윤석열 정부는 한전KDN과 한국마사회 등 공기업 소유 YTN 지분 매각을 추진했다. 2023년 지분 매각 공고를 거쳐 그해 10월 유진그룹이 최종 인수자로 선정됐다. 이듬해 2월 방송통신위원회가 유진그룹의 YTN 인수를 최종 승인했다.
이번 유진기업의 유상증자 참여는 YTN에 대한 지배력 강화 행보로 풀이된다. 앞서 지난 21일 YTN은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 최대주주인 유진이엔티가 주당 3523원에 신주 567만6980주를 인수하는 조건으로 증자가 완료되면 유진이엔티의 YTN 보유 지분은 기존 30.95%에서 39.02%까지 늘어난다. 법정 최대치인 40%에 육박한다. YTN의 다른 대주주 지분을 합쳐도 최대주주 자격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다.
(사진=YTN)
이에 대해 YTN 측은 유상증자 이유를 방송 역량 강화를 위한 선투자 집행이라고 밝혔다. 사실상 모기업 유진기업의 자금 지원이 유진이엔티를 통해 YTN에 흘러가는 꼴로 각 유상증자가 마무리되면 유진그룹의 YTN에 대한 지배력은 한층 더 공고해질 전망이다.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결정된 이후 유진그룹의 YTN 인수를 두고 논란이 거세다. 언론노조와 YTN 우리사주조합은 YTN 민영화를 승인한 방통위를 상대로 승인 취소 행정소송을 제기했다. 이어 지난 23일엔 YTN 지분 불법매각 과정을 수사해달라며 서울중앙지검에 고발하기도 했다. 한편 국회도 30일 YTN 민영화 관련 청문회를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주재로 개최할 예정이다.
시장에서는 정치적 논란과 별개로, YTN을 통한 유진기업의 장기 전략에는 변함이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방송산업의 구조적 어려움 속에서 YTN의 브랜드 가치와 유진그룹의 자금력은 상호보완적이라는 분석이다.
권준성 NICE신용평가 책임연구원은 “YTN은 지난 2023년과 2024년 3분기 영업손익에서 각각 93억원, 309억원 적자를 기록했다”라며 “당분간 방송산업의 부진한 수익성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무형가치를 원하는 모기업과의 협업은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윤석 기자 cys55@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