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제철 인천공장 전경.(사진=연합뉴스)
현대제철은 4월 한 달동안 인천 철근공장을 ‘셧다운’하는 것과 관련해 “단순한 정기 보수가 아닌 시황 악화로 인한 감산 조치”라며 “당장의 손실을 감수하더라도 시장 정상화를 위한 결정을 내렸다”고 27일 설명했습니다. 현대제철은 인천 철근공장을 닫아 봉형강 시장을 안정화하고, 적자 누적 상황을 개선할 방침입니다.
현대제철은 철근공장에서 철근과 형강을 생산합니다. 이 중 철근과 형강의 연간 생산량은 각각 약 150만톤(t), 200만t입니다. 현대제철은 4월 한 달 간 인천공장의 철근공장 생산을 멈춘 뒤, 국내 철근 재고가 감소하는 등 시장의 공급 과잉이 완화할 때까지 감산 조치를 유치할 계획입니다.
봉형강은 건설, 기계, 자동차, 조선, 에너지·플랜트 산업 등에 사용되는 철강재입니다. 봉형강 최대 공급사인 현대제철이 이같이 철근 공장을 멈출 경우 단기적으로 봉형강 공급 과잉 문제 해소에 도움이 될 전망입니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철근 시장 위기에는 구조적인 문제가 내포돼 있지만, 우선 감산으로 수급 균형을 맞추는 것이 최우선”이라며 “강도 높은 감산 정책으로 수급 안정화가 이뤄지면 4월 이후 가격 반등의 가능성이 열릴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승재 기자 tmdwo3285@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오승훈 산업1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