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충범 기자] 지난해 달러화 강세 수준에 비해 원화가 다른 나라 통화 대비 약세를 보인 것은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높은 중국 경제 의존도, 포트폴리오 투자 등에 따른 것이라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한국은행이 18일 발표한 'BOK 이슈노트-최근 원화 약세 원인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이후 원·달러 환율은 외화 자금 수급 상황과 경제 펀더멘털이 양호함에도 불구하고, 달러인덱스 및 주요 신흥국 대미 환율에 비해 상승하는 등 여타 통화에 대해 약세(가치 하락)를 나타냈다.
지난해 원·달러 환율 상승률(8.2%)은 달러인덱스(6.3%) 및 신흥국 대미 환율(2.7%)을 웃돌았다.
또 최근 글로벌 경기 상황과 유사하게 미국의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 기대, 중국 경기 부진 등이 달러 강세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던 과거 시기(2012년 12월~2013년 7월) 대비로도 원화의 절하 확대폭(3.6%→8.2%)은 달러인덱스(2.6%→6.3%), 신흥국 통화(0.1%→2.7%)의 절하 확대폭보다 더 컸다.
한은은 지난해 원화 약세 원인으로 △국제 원자재 가격 △높은 중국 경제 의존도 △포트폴리오 투자 등을 지목했다.
먼저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이 인플레이션 기대 상승을 통해 미 달러화 대비 원화 약세, 교역조건 및 경상수지 악화를 통해 기타 통화 대비 원화 약세를 유발했다는 분석이다.
작년 중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은 글로벌 공급 병목 현상과 맞물려 인플레이션 기대를 상승시켰고, 이에 대응한 미국 연방준비위원회(Fed·연준)의 정책 기조 전환 가능성이 고조되며 미 달러화가 강세를 보였다.
해외 원자재 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의 특성상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은 교역 조건, 경상수지 악화 등을 통해 우리 경제에 상대적으로 더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이 같은 우려가 환율에 반영됐다는 것이 한은의 설명이다.
대중 의존도가 높은 국가일수록 이번 달러 강세기에 중국 경기 둔화 우려로 인한 통화 절하율이 상대적으로 확대된 경향을 보였다는 분석이다. 작년 중반 이후 중국 부동산 개발 기업 헝다 그룹의 채무 불이행(디폴트) 가능성이 구체화되는 등 중국 실물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심화하는 추세다.
한은은 우리나라의 높은 대중 교역 의존도로 인해 원화 환율이 여타 신흥국 환율에 비해 중국 경기 둔화 우려의 영향을 크게 받았을 것으로 관측했다. 한국의 대중 교역 의존도는 2020년 기준 24.6%로, 동남아 5개국(인도·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필리핀·태국)의 평균 17.2%나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 지수(MSCI) 분류상 신흥국 평균 13.3%보다 높다.
아울러 글로벌 투자자들이 포트폴리오 재균형(리밸런싱) 과정에서 우리나라에 대한 비중 축소로 투자자금이 유출된 것도 원화 절하 요인으로 작용했다.
국내 주가는 지난 2020년 하반기 상대적으로 가파르게 상승한 이후 작년 들어 외국인 투자자의 순매도가 증가하며 글로벌 주식 펀드 내 우리나라 비중이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 내국인의 해외직접투자 및 포트폴리오 투자 자금 유출도 작년 들어 주식을 중심으로 증가세가 확대됐다.
특히 반도체 경기 호황이 예상보다 짧을 것이라는 우려가 지난해 하반기 들어 대두된 점도 일시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한은 관계자는 "원화 환율은 여러 요인의 영향을 받고 있다"며 "미국 인플레이션, 국제 원자재 가격, 중국 경제, 투자 자금 이동, 반도체 경기 사이클 등에 따른 국내 기업 실적 변화 등의 동향을 항상 점검하고, 글로벌 자금 흐름과 외환시장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한국은행이 18일 발표한 'BOK 이슈노트-최근 원화 약세 원인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이후 원·달러 환율은 외화 자금 수급 상황과 경제 펀더멘털이 양호함에도 불구하고, 달러인덱스 및 주요 신흥국 대미 환율에 비해 상승하는 등 여타 통화에 대해 약세(가치 하락)를 나타냈다. 사진은 한 은행 관계자가 원화를 들어 보이고 있는 모습. 사진/뉴시스
김충범 기자 acechung@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