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70% 이상 "친일 잔재 청산 안 됐다"
뉴라이트 인사 요직 차지 '부적절' 61.3%
광복회, 광복 80주년 국민 인식 조사 결과 발표
2025-08-13 13:08:59 2025-08-13 15:04:07
한일 관계 개선을 위한 중요 사항(단위: %). (사진=광복회)
 
[뉴스토마토 이석종 국방전문기자] 국민 70%이상이 '해방 이후 친일 잔재가 청산되지 않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친일 반민족 행위자의 사회 요직 진출에 대해 '부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국민은 71.8%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광복회는 13일 광복 80주년을 맞아 광복회에 소속된 독립유공자 후손 850명과 일반 국민 1000명 등 총 1850명을 대상으로 정체성 인식 조사를 했다며 이 같이 밝혔습니다. 
 
이번 조사는 광복회와 광복회 학술원의 의뢰로 ㈜코리아데이터월드가 지난 1일부터 7일까지 진행했습니다. 표본오차는 독립유공자 후손이 95% 신뢰수준에서 ±3.19%포인트(유한모집단), 일반 국민이 95% 신뢰수준에서 ±3.09%포인트(무한모집단)입니다. 
 
조사 결과 독립유공자 후손과 일반 국민 모두 '해방 이후 친일 잔재가 청산되지 않았다'는 인식이 대다수였습니다. 
 
'해방 이후 친일 잔재가 청산되지 않았다'는 응답은 후손 78.0%, 국민 70.9%였고, 친일 반민족 행위자 후손이 여전히 사회 전반에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비율은 후손 70.2%, 국민 63.6%였습니다. 
 
친일 반민족 행위자의 사회 요직 진출이 '부적절하다'고 본 응답은 후손 85.1%, 국민 71.8%였으며, 뉴라이트 성향 인사의 정부 요직 임명에 대해서는 '부적절' 의견이 후손 81.6%, 국민 61.3%로 나타났습니다. 
 
'지금이라도 친일 잔재 청산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후손 83.1%, 국민 71.8%였습니다. 후손 내에서는 40대 이하 90.0%, 50대 96.6%로 젊을수록 필요성을 크게 인식했습니다. 
 
한·일기본조약과 대일청구권 관련해서는 후손이 '공식적 배상도 종료되지 않았고 개인의 개별 청구권도 유효하다'는 응답이 57.3%로 가장 많았고, 국민은 '공식적 배상은 종료되었으나 개인 청구권은 유효하다'가 45.1%로 많았습니다. 두 집단 모두 한·일 관계 개선의 핵심 조건으로 '일본의 진정성 있는 사과와 반성'을 1순위로 꼽았습니다. 
 
독립유공자 후손을 위한 필요 지원 정책(단위: %). (사진=광복회)
 
독립유공자에 대한 국가 보상과 관련해 '충분하다'는 응답은 후손 12.7%, 국민 16.5%에 불과했고, '부족하다'는 응답은 후손 57.4%, 국민 50.7%로 절반을 넘었습니다. 
 
후손으로서 자부심을 느끼는 비율은 85.0%로 높았지만, 연령이 낮을수록 자부심 정도가 낮아(50대 75.9%, 60대 84.4%, 70대 84.5%, 80대 86.2%,  90대 이상 93.8%), 세대가 지날수록 자부심이 줄어드는 것이 확인됐습니다. 
 
독립유공자 후손중 생활에 '만족한다'는 응답은 6.4%, '보통' 54.4%, '불만족' 39.3%로 나왔습니다. 세대별 불만족 비율은 자녀 30.6%, 손자녀 43.6%, 증·고손 자녀 51.7%로 세대가 멀어질수록 높았습니다. 주로 지원받은 항목은 의료비(69.4%)와 보훈보상금(67.3%)이었고, 만족도가 높은 지원 항목은 보훈보상금(59.1%), 의료비(50.4%)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전반적 지원 사업 평가에서는 '보통' 50.8%, '불만족' 40.6%로 지원 정책 재검토 필요성이 확인됐습니다. 
 
후손들의 최대 고충은 '적은 연금액'(29.4%)이었고, '연금 승계 단절 우려'(25.1%)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후손과 국민모두 '보훈연금 및 지원 대상 확대'를 필요 정책 1순위로 꼽았고(후손 70.1%, 국민 46.6%), 정부의 중점 추진 과제도 '보훈 예산 및 보상 확대'가 후손 58.0%, 국민 25.3%로 가장 높았습니다. 
 
이석종 국방전문기자 stone@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