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지은 기자] 무단 소액결제 사태가 발생한
KT(030200)가 추가 피해자를 가리기 위해 4조 단위의 데이터를 분석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PG사와 매칭 작업도 진행 중인데요. 빠른 시간 안에 추가 피해자 선별 작업을 마무리한다는 계획입니다. 다만 무단 소액결제 사태의 원인으로 지목된 불법 기지국의 누락 가능성에 대해서는 확답을 내놓지 못했는데요. 국회는 이에 대해 KT의 추가 피해자 선별 작업이 책임 회피이자 조사 방해 행위로 연결된다면 전체 고객자에 대한 위약금 면제를 해야 한다며 강수를 뒀습니다.
이현석 KT커스터머부문장(부사장)은 1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 증인으로 출석해 KT의 해킹 추가 피해 확인이 늦어지는 것과 관련해 "4조 단위의 통화 데이터, SMS 데이터, ARS 데이터와 관련된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있다"며 "빠른 시간 내에 결과가 나올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해당 데이터는 PG사와 확인 과정을 거치기에 분석 작업이 다소 소요된다는 것이 이 부사장의 설명입니다.
14일 열린 국회 과방위 국정감사. (사진=뉴스토마토)
이날 황정아 민주당 의원은 KT의 전수조사 과정에서 드러나지 않은 숨은 피해자들이 있었다며, KT의 추가 피해자 선별 과정을 서두를 필요가 있다는 점을 재차 강조했습니다. 황 의원은 "지난달 23일 기준 경찰청이 파악한 피해자 214명 가운데 19명이 KT 조사에서 드러나지 않은 숨은 피해자였다"며 "KT가 파악하지 못했던 (피해) 시간대가 존재한다"고 지적했습니다.
황 의원은 KT 무단 소액결제 범행에 사용된 불법 초소형 기지국의 누락 가능성도 제기했습니다. 경기남부경찰청 사이버수사과에 따르면 사건 초기 불법 초소형 기지국 ID 2개를 발견하고, 추가로 2개가 더 발견된 바 있는데요. 추가적 불법 초소형 기지국의 존재 가능성을 염두에 둔 것입니다. 이에 대해 이 부사장은 "지금 조사하고 있으니 더 나올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며 "정말 깊숙하게 고객 피해가 한 건도 발생하지 않도록 최대한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KT가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점을 피력했지만, 국회는 KT의 빅데이터 분석 등이 책임 회피이자 조사 방위로 연결될 경우 위약금 면제를 강행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앞서 지난 13일 과방위 국감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KT가 무단 소액결제 사고 조사 과정에서 허위 자료를 제출하고 증거를 은닉하는 등 정부 조사를 방해하기 위한 고의성이 있다고 보고 수사를 의뢰했다고 국회에 제출한 업무현황 자료를 통해 밝힌 바 있습니다.
황 의원은 "고의적으로 조사 방해 행위를 한 것이라면 추후 통신서비스 제공자 의무를 완전히 위배했다고 볼 수 있기에 전체 고객에 대한 위약금 면제도 고려해야 한다"고 질타했습니다.
이현석 부사장은 "민관합동조사단과 경찰 조사에 충실히 임하겠다"며 "다만 제가 전체 위약금 면제를 할 수 있다는 말은 못 드리고, 결과에 따라 최대한 고민하겠다"고 답했습니다.
이지은 기자 jieunee@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나볏 테크지식산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