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당대표 선거에 출마한 정청래 후보가 지난 10일 대전시 중구 용두동 민주당 대전시당에서 당원들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뉴스토마토 김성은 기자] 정청래 민주당 당대표 후보가 충청권 권리당원 투표에서 62.77%의 득표율을 얻어 박찬대 후보에게 약 25%포인트 차이로 승리를 거뒀습니다. 첫 경선지이자 '캐스팅 보트'로 여겨지는 충청권의 당심이 정 후보에게 있다는 것을 확인한 만큼 차기 당권에 '청신호'가 켜졌습니다.
충청의 선택은 '정청래'…'당권 가도' 열렸다
민주당은 19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민주당 당대표 및 최고위원 선출을 위한 충청권(대전·세종·충남·충북) 온라인 합동연설회를 열었습니다.
당초 이날 합동연설회는 대전 유성구의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릴 계획이었지만, 충청권을 비롯한 전국 각지에 폭우로 인한 피해가 속출하자 현장 행사를 취소하고 온라인으로 대신했습니다.
충청권 권리당원 투표 결과, 정 후보는 3만5142표를 획득해 득표율 62.77%를 기록했습니다. 37.23%(2만846표)를 얻은 박 후보와의 격차는 약 25%포인트(1만4296표)입니다.
정 후보는 합동연설회 이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오늘 결과에 대해서 좀 놀랐다"며 "부족한 저에게 과분한 지지를 보내주신 충청권 민주당 당원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린다"고 소감을 밝혔습니다. 이어 "오직 당원과 당심만 믿겠다"며 "더 낮고 겸손하게 권리당원들의 마음을 잘 헤아리며 전당대회 전 과정에 임하겠다"고 했습니다.
이번 당대표 선거는 대의원 투표 15%·권리당원 55%·국민 여론조사 30%의 비율을 적용합니다. 권역별 경선에서는 권리당원 선거인단의 투표 결과만 발표합니다.
권리당원의 선택이 선거 당락을 좌우함에 따라 첫 경선지인 충청권 당원의 투표 결과가 중요했는데요. 정 후보가 박 후보를 크게 앞지르면서 뒤이어 열릴 경선에서도 유리한 고지를 점하게 됐습니다.
지역 순회 경선은 이날 충청권을 시작으로 오는 20일 영남권, 26일 호남권, 27일 경기·인천을 거쳐 내달 2일 서울·강원·제주 순으로 진행됩니다. 내달 2일 임시 전국당원대회에서 대의원, 재외국민, 국민 여론조사 투표 결과를 합산해 당대표를 선출하게 됩니다.
(오른쪽부터)정청래·박찬대 민주당 당대표 후보자와 황명선 최고위원 후보자가 19일 서울 여의도 민주당 중앙당사에서 열린 '민주당 당대표 및 최고위원 선출을 위한 충청권 합동연설회'에서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 대통령과 정치적 동지…당원주권시대 열겠다"
충청권에서 당심을 확인한 정 후보는 이재명정부의 성공과 당원 중심의 정당을 위해 노력하겠다며 차기 당대표 후보로서의 각오를 다졌습니다.
그는 "이재명 대통령과 20년 지기 오래된 정치적 동지"라며 "(이 대통령은) 정치를 하면서 방향과 속도가 일치하는 유일한 지도자"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의 얼굴을 보지 않아도, 목소리를 듣지 않아도, 같은 공간에 있지 않아도 대통령이 하려는 국정 방향·철학·속도를 직감적으로 알아차릴 수 있다"며 "이재명정부의 성공을 위해 이 대통령과 한 치의 오차 없이 한몸처럼 '찰떡 공조'로 잘 조율하면서 당에서 해야 할 일을 120% 달성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정 후보는 "아직도 민주당에는 '1인 1표' 시대가 열리지 않고 있다"며 "당대표가 된다면 민주당 모든 선거에서 누구나 평등하게 1인 1표를 행사할 수 있도록 하겠다. 국민주권시대에 걸맞은 당원주권시대를 열겠다"고 공언했습니다. 민주당에서 선출직으로 당선되지 않은 평당원 중 민주적 절차를 거쳐 '평당원 지명직 최고위원 시대'도 함께 열겠다고 약속했습니다.
특히 충청권 등 전국 폭우 피해지 복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습니다. 정 후보는 "수해 피해 현장인 아산시와 예산 삽교읍 현장을 다녀왔다"면서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로 처참한 수해 현장을 봤고, 망연자실한 국민들의 어두운 표정을 보면서 참 안타깝고 마음이 아팠다"고 전했습니다.
이어 "내일 영남권 온라인 합동연설회를 마치고 꼭 필요한 일정은 하더라도 앞으로 일정은 가급적 취소하고 수해 현장을 지키겠다"며 "정부 부처에 하루빨리 특별재난지역을 선포해달라고 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김성은 기자 kse5865@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